AWS Greengrass 와 SageMaker를 활용한 1인가구 돌봄 IoT 서비스 개발

1인 가구의 경우 범죄 및 질병 등 비상시 대처 능력이 떨어지고 외출시 원격 케어에 대한 요구(집안 컨디션 케어, 반려동물 대응 등)가 큰 편이다. 본 논문은 AWS 클라우드의 머신러닝 서비스인 SageMaker와 IoT 플랫폼인 Greengrass를 활용하여, 1인 가구 돌봄 IoT 서비스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카메라와 각종 센서를 설치한 라즈베리 파이 노드를 설치하였으며, 집안 곳곳을 자유롭게 이동하며 상황을 전달할 수 있는 지능형 이동체를 활용한다. AWS IoT Greengrass를 기반으로 IoT 디바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4; no. 12; pp. 3121 - 3130
Main Authors 최환석(Hoan-Suk Choi), 장승호(Seung-Ho Jang), 천효림(Hyo-Rim Cheon), 김민정(Min-Jeong Kim), 이우섭(Woo-Seop Rh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12.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23.24.12.312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1인 가구의 경우 범죄 및 질병 등 비상시 대처 능력이 떨어지고 외출시 원격 케어에 대한 요구(집안 컨디션 케어, 반려동물 대응 등)가 큰 편이다. 본 논문은 AWS 클라우드의 머신러닝 서비스인 SageMaker와 IoT 플랫폼인 Greengrass를 활용하여, 1인 가구 돌봄 IoT 서비스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카메라와 각종 센서를 설치한 라즈베리 파이 노드를 설치하였으며, 집안 곳곳을 자유롭게 이동하며 상황을 전달할 수 있는 지능형 이동체를 활용한다. AWS IoT Greengrass를 기반으로 IoT 디바이스를 등록하고, 관리하며,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동한다. 또한 SageMaker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식을 위한 모델을 학습/배포하여 효과적인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Single-person households face increased vulnerability to emergencies such as crime and illness, emphasizing the necessity for remote care solutions, including home and pet care. This paper introduces a novel approach to single-person care IoT services, leveraging AWS cloud-based machine-learning service, SageMaker, and its IoT platform, Greengrass. The proposed service involves the deployment of Raspberry Pi nodes equipped with cameras and various sensors, alongside intelligent mobile devices capable of dynamic movement within the household for video delivery. The system efficiently registers, manages, and interfaces with cloud platforms through AWS IoT Greengrass. Furthermore, it enhances its capabilities by training and distributing models for user recognition based on SageMaker, delivering intelligent services tailored to individual needs. KCI Citation Count: 0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23.24.12.3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