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러닝과 머신러닝을 통한 당뇨병 데이터 분석
당뇨병은 널리 퍼진 만성 질환으로, 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경제적으로도 상당한 재정적 부담을 부가하고 있다. 당뇨병은 혈액의 포도당을 조절하는 능력을 저하하고 , 삶의 질과 수명을 감소시킬 수 있는 만성 질환이다. 또한 당뇨병은 인슐린을 생성하지 못하거나,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한다. 당뇨병 문제의 규모는 상대적으로 크지만, 쉽게 인식하지 못한다. 당뇨병을 완치할 수 있는 방법은 없지만 체중 감량, 건강식, 활동적 생활 및 치료를 받는 것과 같은 전략은 많은 환자에서 이 질병의 피해를 완화할 수 있다. 조기 진단은 생활 방식의...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 28; no. 9; pp. 1028 - 1033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정보통신학회
01.09.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34-4772 2288-4165 |
DOI | 10.6109/jkiice.2024.28.9.1028 |
Cover
Summary: | 당뇨병은 널리 퍼진 만성 질환으로, 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경제적으로도 상당한 재정적 부담을 부가하고 있다. 당뇨병은 혈액의 포도당을 조절하는 능력을 저하하고 , 삶의 질과 수명을 감소시킬 수 있는 만성 질환이다. 또한 당뇨병은 인슐린을 생성하지 못하거나,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한다. 당뇨병 문제의 규모는 상대적으로 크지만, 쉽게 인식하지 못한다. 당뇨병을 완치할 수 있는 방법은 없지만 체중 감량, 건강식, 활동적 생활 및 치료를 받는 것과 같은 전략은 많은 환자에서 이 질병의 피해를 완화할 수 있다. 조기 진단은 생활 방식의 변화와 보다 효과적인 치료로 이어진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당뇨병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확한 예측을 제공하고 당뇨병 위험을 가장 잘 예측하는 위험 요소는 무엇인지 찾는 것이다. 예측에 있어서 여러 가지 머신러닝 기법과 딥러닝의 CNN과 RNN을 통한 Ensemble Model 사용하고, 평가방법으로 Accuracy와 Recall을사용한다. 이 Ensemble Model은 Transformer구조를 따르고자 했고, 경량화하였다. Diabetes is a widespread chronic disease that affects people worldwide and imposes significant financial burdens. Diabetes impairs the ability to regulate blood glucose levels, reducing quality of life and life expectancy. Additionally, diabetes is characterized by either the inability to produce insulin or to use it effectively. Despite its prevalence, diabetes is often underrecognized. While there is no cure for diabetes, strategies such as weight loss, healthy eating, an active lifestyle, and treatment can mitigate the disease's impact in many patients. Early diagnosis leads to lifestyle changes and more effective treatment. This study aims to provide accurate predictions for diabetes and identify the most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its development. The study employs various machine learning techniques, and ensemble models using CNN and RNN, with accuracy and recall as evaluation metrics. This Ensemble Model attempted to follow the Transformer structure and made it lightweight.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jkiice.org |
ISSN: | 2234-4772 2288-4165 |
DOI: | 10.6109/jkiice.2024.28.9.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