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시적 교수 기반의 가상 조작물 활용이 중학교 지적장애 학생의 분수 기술 습득, 유지, 일반화에 미치는 효과

연구목적: 수학은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상황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실생활 문제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지적장애 학생들은 전체와 부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수를 학습하는 데 특히 어려움을 겪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명시적 교수와 가상 조작물을 활용하여 지적장애 중학생들에게 분수 기술(분수식별, 같은 분수 찾기, 분수덧셈)을 가르치고, 그 효과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두 명의 중학교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단일대상연구(행동간 중다간헐설계)를 사용하여 중재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특수교육논총 Vol. 40; no. 4; pp. 21 - 42
Main Authors 박지윤(Jiyoon Park), 서원혜(Wonhye Se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01.11.2024
특수교육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466-1872
2672-104X
DOI10.31863/JSE.2024.11.40.4.2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목적: 수학은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상황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실생활 문제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지적장애 학생들은 전체와 부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수를 학습하는 데 특히 어려움을 겪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명시적 교수와 가상 조작물을 활용하여 지적장애 중학생들에게 분수 기술(분수식별, 같은 분수 찾기, 분수덧셈)을 가르치고, 그 효과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두 명의 중학교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단일대상연구(행동간 중다간헐설계)를 사용하여 중재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모든 분수 기술에서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중재 종료 후 4주 동안 습득한 기술을 유지하였다. 또한, 중재에서 사용된 명시적 교수 및 가상조작물 없이도 습득한 기술을 일반화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명시적 교수 기반의 가상조작물 활용이 중학교 지적장애 학생의 분수 기술 습득, 유지, 일반화에 효과적인 중재 방법임이 증명되었다. Purpose: Mathematics is closely related to various situations in everyday life, playing a crucial role in solving real-world problems. Howeve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often struggle to learn fraction concepts, such as proportion, parts-to-whole relationships, and other concepts distinct from whole numbers. This study aimed to support second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fractions(fraction identification, finding equivalent fractions, and adding fractions with like denominators) by using explicit instruction and virtual manipulatives. Method: A single case experimental design with multiple probes across behaviors was employ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explicit instruction and virtual manipulatives. Results: The students demonstrated high accuracy across all fraction skills and maintained these skills for four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ended. Additionally, they were able to generalize the skills in the absence of explicit instruction and virtual manipulatives.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d that explicit instruction combined with virtual manipulatives effectively helps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cquire, maintain, and generalize fraction skills. KCI Citation Count: 0
ISSN:2466-1872
2672-104X
DOI:10.31863/JSE.2024.11.4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