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도시를 위한 분산형 수소공급 허브시설 구축 방안 제언

전 세계 여러 도시에서 수소 도시의 개념을 정립하고 있다.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수소공급시설에 대한 투자하고 민간 기업과 협력을 통해 수소자동차 및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수소 생산 및 운송에서의 높은 비용과 에너지 대체에 필요한 대규모 인프라 투자가 부담으로 작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소를 지속 가능하고 탄소 없는 미래를 향한 유망한 에너지로 기대하고 있다. 유럽과 북미 그리고 호주에서도 수소 물류비용 저감을 위해 수소의 생산·수요·공급 연결체계, 충전소 공급체계, 도로운송 등의 공급을 효율화하기 위한 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4; no. 9; pp. 2037 - 2045
Main Authors 양충헌(Choongheon Yang), 임기원(Kiwon L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09.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23.24.9.203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전 세계 여러 도시에서 수소 도시의 개념을 정립하고 있다.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수소공급시설에 대한 투자하고 민간 기업과 협력을 통해 수소자동차 및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수소 생산 및 운송에서의 높은 비용과 에너지 대체에 필요한 대규모 인프라 투자가 부담으로 작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소를 지속 가능하고 탄소 없는 미래를 향한 유망한 에너지로 기대하고 있다. 유럽과 북미 그리고 호주에서도 수소 물류비용 저감을 위해 수소의 생산·수요·공급 연결체계, 충전소 공급체계, 도로운송 등의 공급을 효율화하기 위한 노력이 강화되고 있다. 실제로 우리나라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에서도 도심·거점별 수소충전소를 공공부지나 주유소 등을 활용하여 구축하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소 공급망 및 충전소 배치와 관련한 각 국가들의 정책동향, 기술동향, 그리고 기존 연구들 검토하고, 향후 국내 지역거점 분산형 수소공급 허브시설 구축을 위한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Several cities around the world are embodying the concept of hydrogen cities as they invest in the most important hydrogen supply facilities and by partnering with private companies to develop hydrogen vehicles and related technologies. However, the high cost of hydrogen production and transportation, as well as the large-scale infrastructure investments required for energy substitution, remain an obstacle to hydrogen’s uptake. Nevertheless, hydrogen is a promising energy source for a sustainable and carbon-free future. In Europe, North America, and Australia, efforts are being strengthened to streamline the supply of hydrogen production, demand, and supply connection system, charging station supply system, and road transportation for the reduction of hydrogen logistics costs. In fact, Korea's 2050 Carbon Neutral Promotion Strategy also announced a plan to build hydrogen charging stations in city centers and hubs by utilizing public sites or gas stations. In this study, policy trends, technological trends, and existing studies from each country related to the hydrogen supply chain and charging station arrangement were reviewed, and a methodology for establishing a distributed hydrogen supply hub facility for domestic regional bases was proposed.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dx.doi.org/10.9728/dcs.2023.24.9.2037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23.24.9.2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