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 공시지가의 유사가격권에 관한 탐색적 연구: 광진구 사례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개별 공시지가 산정의 중요한 요소인 유사가격권에 관한 탐색적 연구이다. 유사가격권은 개별 공시지가 산정과정에서 표준지의 선정, 감정평가에 있어서 비교사례의 선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개념이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서울시 광진구이며, 시간적 범위는 2011년에서 2019년이다. 본 연구는 대응표본 t-test 방식을 활용하여 통계적 유사가격권과 비유사가격권이 구분되는 경계선을, 연도별, 용도지역별, 법정동별 수준에서 탐구하였다. 공시지가외의 연간 공시지가 상승률과 가격 차이의 절대값의 비율도 연구변수로 하여 통계적으로...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3(7) Vol. 23; no. 7; pp. 128 - 137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01.07.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3.23.07.128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개별 공시지가 산정의 중요한 요소인 유사가격권에 관한 탐색적 연구이다. 유사가격권은 개별 공시지가 산정과정에서 표준지의 선정, 감정평가에 있어서 비교사례의 선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개념이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서울시 광진구이며, 시간적 범위는 2011년에서 2019년이다.
본 연구는 대응표본 t-test 방식을 활용하여 통계적 유사가격권과 비유사가격권이 구분되는 경계선을, 연도별, 용도지역별, 법정동별 수준에서 탐구하였다. 공시지가외의 연간 공시지가 상승률과 가격 차이의 절대값의 비율도 연구변수로 하여 통계적으로 검정하였다. 모든 연구변수는 개별 필지 수준에서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 법정동 수준에서서의 유사가격권은 개별 필지를 중심으로 반경 40에서 50 미터의 좁은 범위라 하겠다. 이는 광진구의 용도지역이 매우 협소하게 파편화되어 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에 추가한다면, 다양한 매개변수 조합에 맞추어, 비교 표준지 후보를 제시할 수 있다. 특히 빅데이터와 프롭테크와 같이 대량의 자료가 프로그램밍 되어 자동적으로 처리 되는 현실에서, 본 연구의 방법론은 개별 공시지가 평가, 토지 수용의 보상 평가 및 투자회사의 부동산 투자평가 모두에 기여하는 바가 매우 크다.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analysis on the similarly assessed land area, which is a crucial factor in determining standard land in publicly announced land prices calculation for individual land and finding market comparables in appraisal. The spatial scope of this study is Gwangjin-gu, Seoul, and the temporal scope is from 2011 to 2019.
The study uses the paired t-test method to establish the boundary line separating the statistically similarly assessed land area from other areas based on the year, zoning, and administrative town. Additionally, the study statistically tests the ratio of the absolute price differences to the price and the annual official land price appreciation rate, as a research variable. all the research variables are calculated based on each parcel.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similarly assessed land area in town level is very small area with a radius of 40 to 50 meters, centered on a single lot due to the fragmentation of zoning regul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KRAS to provide candidates for standard land form comparison based on various parameter combinations. Especially in the real world practice where big data are programmed and automatically processed, such as real estate proptech business,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has great contribution to both individual land valuation, compensation value of expropriated land, and real estate investment evaluation of investment companie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3.23.07.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