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3D 모델 생성 성능 비교 연구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산업 및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그 의존도를 높이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생성형 인공지능 솔루션은 주로 텍스트 또는 2D 이미지 생성에 중점을 두고있으며, 3D 모델 생성 분야에서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ChatGPT, Copilot, Gemini 세 가지 생성형 AI 모델을 대상으로 3D 모델 생성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오픈소스 GPL 라이선스를 따르는 Blender 그래픽 제작 도구에서 사용하는 스크립트를ChatGPT, Copilot, Gemin...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Vol. 29; no. 12; pp. 21 - 28
Main Author 이병권(Byong-Kwon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컴퓨터정보학회 01.12.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49X
2383-9945
DOI10.9708/jksci.2024.29.12.02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산업 및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그 의존도를 높이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생성형 인공지능 솔루션은 주로 텍스트 또는 2D 이미지 생성에 중점을 두고있으며, 3D 모델 생성 분야에서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ChatGPT, Copilot, Gemini 세 가지 생성형 AI 모델을 대상으로 3D 모델 생성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오픈소스 GPL 라이선스를 따르는 Blender 그래픽 제작 도구에서 사용하는 스크립트를ChatGPT, Copilot, Gemini 모델을 통해 자동 생성한 후, 각각의 성능을 정확도(Accuracy), 재현율(Recall), 정밀도(Precision), F1 점수(F1 Score) 지표로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ChatGPT와 Copilot은우수한 성능을 보인 반면, Gemini는 상대적으로 낮은 성능을 나타냈다. 이러한 성능 차이는 3D 모델 생성과 관련한 학습 데이터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는 생성형 인공지능모델이 특정 분야에 따라 성능이 상이함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성능 향상을 위해 각 모델에 대한추가적인 학습과 업그레이드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rapid advancement of generative AI technology has led to its increasing reliance across various industries and everyday applications. However, most generative AI solutions have focused primarily on generating text or 2D images, with relatively little attention paid to 3D model generation. This study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erformance of three generative AI models ChatGPT, Copilot, and Gemini in generating 3D models. The methodology involved generating scripts for use in the open-source Blender graphics tool, which operates under a GPL license, using each of the three AI models. The performance of these models was then evaluated using metrics such as Accuracy, Recall, Precision, and F1 Score. The results showed that ChatGPT and Copilot outperformed Gemini, which exhibited lower performance. This discrepancy in performance is likely due to differences in the training data related to 3D model generat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performance of generative AI models varies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domain of application, highlighting the need for further development and upgrades to improve their effectiveness in specific areas like 3D modeling. KCI Citation Count: 0
ISSN:1598-849X
2383-9945
DOI:10.9708/jksci.2024.29.1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