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격차 연구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2020년 이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2020년 이후의 디지털 격차 관련 연구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주요 이슈를 파악하고, 관련 분야의 후속 연구에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이후에 KCI 등재지에 게재된 72건의 디지털 격차 관련 연구의 키워드를 추출하여 빈도 분석, 네트워크 시각화를 위한 중심성 분석 및 클러스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첫째, 노인 계층의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 및 제도 마련의 필요성이다. 둘째, 디지털 격차와 관련된 불평등 요인에 대한...
Saved in:
Published in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4; no. 9; pp. 2243 - 2251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09.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23.24.9.2243 |
Cover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2020년 이후의 디지털 격차 관련 연구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주요 이슈를 파악하고, 관련 분야의 후속 연구에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이후에 KCI 등재지에 게재된 72건의 디지털 격차 관련 연구의 키워드를 추출하여 빈도 분석, 네트워크 시각화를 위한 중심성 분석 및 클러스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첫째, 노인 계층의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 및 제도 마련의 필요성이다. 둘째, 디지털 격차와 관련된 불평등 요인에 대한 탐색적 접근이다. 셋째,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의 중요성이다. 본 연구가 디지털 시대에 발생하는 사회적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보다 포용적이고 평등한 디지털 사회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후속 연구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key issues present in the era of great digital transformation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of research concerning the phenomenon after 2020, and to also provide directions for follow-up studies to be conducted in related fields. To this end, keywords from 72 digital divide-related studies published in KCI academic journals after 2020 were extracted, and frequency analysis, centrality analysis (for network visualization), and cluster analysis were performed. Based on these analyses, the following points were identified: first, it is necessary to prepare education and systems aimed at bridging the digital divide among the elderly; second, there is a need for an exploratory approach regarding the inequality factors related to the digital divide; And third, in terms of lifelong education, digital literacy is important.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follow-up research needed to raise awareness of social issues arising in the digital age and for the realization of a more inclusive and equal digital society. KCI Citation Count: 2 |
---|---|
Bibliography: | http://dx.doi.org/10.9728/dcs.2023.24.9.2243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23.24.9.22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