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T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 특성화고등학교 디자인과 학생들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교육 영역에서 미래사회를 설명하는 키워드 중 하나인 NFT에 대한 관심과 활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NFT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NFT 교육을 비롯한 미래 교육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NFT가 가장 활발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예술 영역을 진로로 정한 특성화고등학교 디자인과 학생 36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는 ADDIE 모형에 따라 선행연구 분석, 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 그리고 운영과 평가의 절차를 거쳐 진행되었다. NFT 교육 프로그램은 NFT 기초 다지기-적...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4(5) Vol. 24; no. 5; pp. 366 - 375
Main Authors 허은철(Eun chul Heo), 최예솔(Yea sol Choi)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01.05.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4.24.05.36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교육 영역에서 미래사회를 설명하는 키워드 중 하나인 NFT에 대한 관심과 활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NFT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NFT 교육을 비롯한 미래 교육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NFT가 가장 활발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예술 영역을 진로로 정한 특성화고등학교 디자인과 학생 36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는 ADDIE 모형에 따라 선행연구 분석, 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 그리고 운영과 평가의 절차를 거쳐 진행되었다. NFT 교육 프로그램은 NFT 기초 다지기-적용하기-제작하기를 주제로 개발되어,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는 특강 형식으로 운영되었다. 그리고 프로그램 전후에 학생들이 작성한 마인드맵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NFT 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NFT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의미 있는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NFT 교육을 포함한 미래 교육의 방향성으로 전문 시스템의 마련, 자발적 거버넌스의 활성화, 진로교육과의 연계, 그리고 지속적인 교사교육 지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crease the interest in and potential utilization of NFT in education,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education. To this end, we developed an NFT education program and analyzed its effectiven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6 design students from a specialized high school who chose to pursue a career in the artistic field where NFTs are most actively used. The research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which consists of prior research analysis, program design and development, and operation and evaluation. As a result, the NFT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on the topics of NFT foundation, application, and production. Each session was operate in a special lecture format that combined theory and practice. And the mind maps created by the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FT education program had a meaningful effect on positively changing students'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NFT. Finally, as a direction for future education including NFT education, the researchers suggested establishing a professional system, activating voluntary governance, linking with career education, and supporting continuous teacher education. KCI Citation Count: 0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4.24.05.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