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글쓰기에 나타난 형식 표현 분석 : D대학의 설득적 글쓰기 자료를 중심으로

이 글의 목적은 대학 글쓰기 강좌에서 학생들이 제출한 글쓰기 자료인 설득적 글쓰기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형식 표현이 어떠한지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D대학교 글쓰기 수업에서 학생들이 제출한 글 225편을 분석 자료로 수집하였고 분석 기준은 글쓰기 강의에서 평가하거나 학생들에게 피드백해주는 항목을 토대로 해서 형식 측면의 세부 항목 아홉 가지를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를 빈도가 높은 순으로 논의하였는데 우선적으로 학생들은 정해진 분량만큼 글을 작성하지 않았다. 또한 형식 표현에서 가장 안 되는 부분은 ‘인용과 출처’로 나타났...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4(8) Vol. 24; no. 8; pp. 435 - 443
Main Author 박은하(Eun-ha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01.08.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4.24.08.435

Cover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대학 글쓰기 강좌에서 학생들이 제출한 글쓰기 자료인 설득적 글쓰기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형식 표현이 어떠한지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D대학교 글쓰기 수업에서 학생들이 제출한 글 225편을 분석 자료로 수집하였고 분석 기준은 글쓰기 강의에서 평가하거나 학생들에게 피드백해주는 항목을 토대로 해서 형식 측면의 세부 항목 아홉 가지를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를 빈도가 높은 순으로 논의하였는데 우선적으로 학생들은 정해진 분량만큼 글을 작성하지 않았다. 또한 형식 표현에서 가장 안 되는 부분은 ‘인용과 출처’로 나타났고 잘 되는 부분은 ‘제목’임을 알 수 있었다. ‘인용과 출처’에 이어서 ‘오탈자, ‘본론의 소제목’, ‘분량’, ‘띄어쓰기’, ‘참고문헌’, ‘문단 들여쓰기 및 나누기’, ‘삼단 구성’, ‘양식’의 순으로 나왔다. 학생들은 글을 인용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인용에 대한 출처를 밝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해 제목의 경우는 제공한 양식에 순서상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이며 개요에서 이미 제목을 써 봤기 때문에 그나마 적을 수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글쓰기 실력을 파악할 수 있고 교수자 입장에서 글쓰기 수업에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글쓰기 지도에 도움이 되리라 본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ormal expressions of college students’ persuasive writings. We collected 225 articles submitted by students in writing courses at D University as analysis data. The criteria for analysis were nine detailed items related to formal aspects based on items evaluated or given feedback in writing lectures. Results, discussed here in order of frequency, revealed first that students did not submit the specified length of writing. The most frequent formal errors seen within the students’ writing submissions were found in, in order, citations and sources, typos and spacing, main-text subheadings, length, references, paragraph breaks and indentation, and three-column composition. Within the written submissions, the worst quality was seen in the “citations and sources” sections. Although students cited text, they did not disclose the sources of quotations. And the highest quality writing was noted for “titles.” As students are required to complete a draft outline before composing written work, and the first item on the form is a title, students are assumed to have included strong titles in the final written work because they had already recorded the title in the outline. The findings suggest that college students’ writing skills can be identified and instructors can use it as reference material in writing classes to help improve students’ skills. KCI Citation Count: 0
AbstractList 이 글의 목적은 대학 글쓰기 강좌에서 학생들이 제출한 글쓰기 자료인 설득적 글쓰기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형식 표현이 어떠한지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D대학교 글쓰기 수업에서 학생들이 제출한 글 225편을 분석 자료로 수집하였고 분석 기준은 글쓰기 강의에서 평가하거나 학생들에게 피드백해주는 항목을 토대로 해서 형식 측면의 세부 항목 아홉 가지를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를 빈도가 높은 순으로 논의하였는데 우선적으로 학생들은 정해진 분량만큼 글을 작성하지 않았다. 또한 형식 표현에서 가장 안 되는 부분은 ‘인용과 출처’로 나타났고 잘 되는 부분은 ‘제목’임을 알 수 있었다. ‘인용과 출처’에 이어서 ‘오탈자, ‘본론의 소제목’, ‘분량’, ‘띄어쓰기’, ‘참고문헌’, ‘문단 들여쓰기 및 나누기’, ‘삼단 구성’, ‘양식’의 순으로 나왔다. 학생들은 글을 인용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인용에 대한 출처를 밝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해 제목의 경우는 제공한 양식에 순서상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이며 개요에서 이미 제목을 써 봤기 때문에 그나마 적을 수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글쓰기 실력을 파악할 수 있고 교수자 입장에서 글쓰기 수업에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글쓰기 지도에 도움이 되리라 본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ormal expressions of college students’ persuasive writings. We collected 225 articles submitted by students in writing courses at D University as analysis data. The criteria for analysis were nine detailed items related to formal aspects based on items evaluated or given feedback in writing lectures. Results, discussed here in order of frequency, revealed first that students did not submit the specified length of writing. The most frequent formal errors seen within the students’ writing submissions were found in, in order, citations and sources, typos and spacing, main-text subheadings, length, references, paragraph breaks and indentation, and three-column composition. Within the written submissions, the worst quality was seen in the “citations and sources” sections. Although students cited text, they did not disclose the sources of quotations. And the highest quality writing was noted for “titles.” As students are required to complete a draft outline before composing written work, and the first item on the form is a title, students are assumed to have included strong titles in the final written work because they had already recorded the title in the outline. The findings suggest that college students’ writing skills can be identified and instructors can use it as reference material in writing classes to help improve students’ skills. KCI Citation Count: 0
Author 박은하(Eun-ha Park)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박은하(Eun-ha Park)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08998$$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pFUE9LAkEcHcIgMz9Bl7l0CXabnX_OdBO1siQhvC-77hqLpaJ06GbqTQ-KSAa7UWS3Dp7Cg5_Inf0OLSUED97jx3sPfm8fJBrNhgvAoYF0RiQ-ubzKZXWMMNVjIKFTwnZAEjMkNJ7BJAGSBpNCoyKT2QPpTsezEWIEcYPjJGiFo240e1H9QAVzuFl11XS5WS3V8xiGvXnU74Y9H0bzmRoGMJr40XwAw--BGgTwFOa32TioBotwGqi3p_8KqF7H4cco_FxDtZio4Zfy1-G7fwB2a9Zdx01vOQUqZ4VK7kIrlc-LuWxJa3DGNLtKKBcExV8w7FLXZhwZNhMS2_GtyiWSVFBEhCBOTXLKDEdKLB1k2xQLm5EUOP6rbbRrZr3qmU3L--Xbpllvm9mbStE0EBPxKDw2H23ND23v3nU8y2zFwmo_mtflfMEwZLwgZ-QHs6OKxg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DBRKI
TDB
ACYCR
DOI 10.5392/JKCA.2024.24.08.435
DatabaseNam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Analysis of Formal Expressions in College Students’ Persuasive Writings in D University
DocumentTitle_FL Analysis of Formal Expressions in College Students’ Persuasive Writings in D University
EISSN 2508-6723
EndPage 443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588776
NODE11915965
GroupedDBID .UV
ALMA_UNASSIGNED_HOLDINGS
DBRKI
TDB
ACYCR
ID FETCH-LOGICAL-n655-bc34683025052e4eb5601b5892b025c690948403883df96451d9929d0bb428b53
ISSN 1598-4877
IngestDate Sat Sep 14 11:36:50 EDT 2024
Thu Feb 06 13:36:41 ES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8
Keywords 인용과 출처
Frequency Analysis
글쓰기의 형식 표현
빈도 분석
대학 글쓰기 강좌
Citations and Sources
College Writing Course
설득적 글쓰기 자료
Persuasive Writing Materials
Formal Expressions of Writing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n655-bc34683025052e4eb5601b5892b025c690948403883df96451d9929d0bb428b53
PageCount 9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588776
nurimedia_primary_NODE11915965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4-08
PublicationDateYYYYMMDD 2024-08-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8
  year: 2024
  text: 2024-08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4(8)
PublicationYear 2024
Publisher 한국콘텐츠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콘텐츠학회
SSID ssib005306162
ssib036279156
ssib001107260
ssib053377518
ssib030194663
ssib044738273
Score 1.8930771
Snippet 이 글의 목적은 대학 글쓰기 강좌에서 학생들이 제출한 글쓰기 자료인 설득적 글쓰기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형식 표현이 어떠한지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D대학교 글쓰기 수업에서 학생들이 제출한 글 225편을 분석 자료로 수집하였고 분석 기준은 글쓰기 강의에서 평가하거나...
SourceID nrf
nurimedia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435
SubjectTerms 학제간연구
Title 대학생의 글쓰기에 나타난 형식 표현 분석 : D대학의 설득적 글쓰기 자료를 중심으로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915965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08998
Volume 24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24, 24(8), , pp.435-443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pR1Na9RANLT1oBdRVKwfJaA5LVnzMTOZ8ZZkI1WxXir0tnSSrEhhW0p78SC13Vt7aCnFFXZFsd489CQ99Bc12f_ge5PsbiylVIVlmLx58_LmvUzee7OTN5r2GEw6BBmLidnyaGKChUpMbsdQMEq9VFpJ0lK7fOfY7BvyYoEuTEweVXYtra_Jevz-3O9K_kWrAAO94leyf6HZEVEAQB30CyVoGMpL6diIAoOHuFkhahiCGkIYEVy6hmhgBUrBa0bkGwFXSAByjcAqIUEB8Qxh1RQlB9CREhBA7AIS1hRxjvSReABkC5ANjWUbJ4pCwKCmsIjCcv1a43weh6wpVJ8gkhiy7Vvg3l7EtuonIuAb-_ku0scKNYJQtQFB4K7g1g8VdghtCgm5rnrkQ7ZCRZ4avuIhaAxlQdVtQryzXx0DVHy4cSE5OqSu8JADDzmHx9ch4MLzynqLkpNVShMGPBYMr67AOGS0_6-YM__JZ9X4CFzcLY-1SRUMPFRuMs9xK0aGFAleSn-FFGmuzppCCo4vnvL9MvTryHQdfhavj_pWE4-fcQj-SD2-FL9rvl1uLq02IcB63gR3HMySxya1K47HGJ4Z8upDNHbAbctzKgE3hYjUHiekBGuC5xmMLAJ4T56wx9mcCPFcXnGoIRbx8H9BlfS4FE6ROgyH9-ScwYGL2F4Fz_Jqex2Px4B3bMVdnL-hXS_jPN0vJu1NbWJp-Za2ku1sDA4-51v9vN_VT4838v2j0-Oj_NOunm12B1sb2WZPH3QP8u2-PtjrDbodPfvVyTt9_aneKPtCx7xzmO33868fxyT0_Mtu9n0n-3Gi54d7-fbPvHeSfevd1uafRfPhrFkeeWK24eVoytglDDPy4fGSKUklrpdIyoUjARYzYQnCCSZwcpOWYITaiYD4JrGkJA6X1L2jTbWX2-ldTSeujOMW9xLpLRImU4hLCBNw5doxa8X2tPYIBKXUe4Gap7WZkSCbK0X-m-bc60aEeSGpYPTepcjc166NJ84DbWptdT19CM78mpxRz89vYYnEWA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8C%80%ED%95%99%EC%83%9D%EC%9D%98+%EA%B8%80%EC%93%B0%EA%B8%B0%EC%97%90+%EB%82%98%ED%83%80%EB%82%9C+%ED%98%95%EC%8B%9D+%ED%91%9C%ED%98%84+%EB%B6%84%EC%84%9D+%3A+D%EB%8C%80%ED%95%99%EC%9D%98+%EC%84%A4%EB%93%9D%EC%A0%81+%EA%B8%80%EC%93%B0%EA%B8%B0+%EC%9E%90%EB%A3%8C%EB%A5%BC+%EC%A4%91%EC%8B%AC%EC%9C%BC%EB%A1%9C&rft.jtitle=%ED%95%9C%EA%B5%AD%EC%BD%98%ED%85%90%EC%B8%A0%ED%95%99%ED%9A%8C+%EB%85%BC%EB%AC%B8%EC%A7%80%2C+24%288%29&rft.au=%EB%B0%95%EC%9D%80%ED%95%98&rft.date=2024-08-01&rft.pub=%ED%95%9C%EA%B5%AD%EC%BD%98%ED%85%90%EC%B8%A0%ED%95%99%ED%9A%8C&rft.issn=1598-4877&rft.eissn=2508-6723&rft.spage=435&rft.epage=443&rft_id=info:doi/10.5392%2FJKCA.2024.24.08.435&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588776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4877&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4877&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4877&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