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글쓰기에 나타난 형식 표현 분석 : D대학의 설득적 글쓰기 자료를 중심으로
이 글의 목적은 대학 글쓰기 강좌에서 학생들이 제출한 글쓰기 자료인 설득적 글쓰기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형식 표현이 어떠한지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D대학교 글쓰기 수업에서 학생들이 제출한 글 225편을 분석 자료로 수집하였고 분석 기준은 글쓰기 강의에서 평가하거나 학생들에게 피드백해주는 항목을 토대로 해서 형식 측면의 세부 항목 아홉 가지를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를 빈도가 높은 순으로 논의하였는데 우선적으로 학생들은 정해진 분량만큼 글을 작성하지 않았다. 또한 형식 표현에서 가장 안 되는 부분은 ‘인용과 출처’로 나타났...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4(8) Vol. 24; no. 8; pp. 435 - 443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01.08.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4.24.08.435 |
Cover
Summary: | 이 글의 목적은 대학 글쓰기 강좌에서 학생들이 제출한 글쓰기 자료인 설득적 글쓰기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형식 표현이 어떠한지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D대학교 글쓰기 수업에서 학생들이 제출한 글 225편을 분석 자료로 수집하였고 분석 기준은 글쓰기 강의에서 평가하거나 학생들에게 피드백해주는 항목을 토대로 해서 형식 측면의 세부 항목 아홉 가지를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를 빈도가 높은 순으로 논의하였는데 우선적으로 학생들은 정해진 분량만큼 글을 작성하지 않았다. 또한 형식 표현에서 가장 안 되는 부분은 ‘인용과 출처’로 나타났고 잘 되는 부분은 ‘제목’임을 알 수 있었다. ‘인용과 출처’에 이어서 ‘오탈자, ‘본론의 소제목’, ‘분량’, ‘띄어쓰기’, ‘참고문헌’, ‘문단 들여쓰기 및 나누기’, ‘삼단 구성’, ‘양식’의 순으로 나왔다. 학생들은 글을 인용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인용에 대한 출처를 밝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해 제목의 경우는 제공한 양식에 순서상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이며 개요에서 이미 제목을 써 봤기 때문에 그나마 적을 수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글쓰기 실력을 파악할 수 있고 교수자 입장에서 글쓰기 수업에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글쓰기 지도에 도움이 되리라 본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ormal expressions of college students’ persuasive writings. We collected 225 articles submitted by students in writing courses at D University as analysis data. The criteria for analysis were nine detailed items related to formal aspects based on items evaluated or given feedback in writing lectures. Results, discussed here in order of frequency, revealed first that students did not submit the specified length of writing. The most frequent formal errors seen within the students’ writing submissions were found in, in order, citations and sources, typos and spacing, main-text subheadings, length, references, paragraph breaks and indentation, and three-column composition. Within the written submissions, the worst quality was seen in the “citations and sources” sections. Although students cited text, they did not disclose the sources of quotations. And the highest quality writing was noted for “titles.” As students are required to complete a draft outline before composing written work, and the first item on the form is a title, students are assumed to have included strong titles in the final written work because they had already recorded the title in the outline. The findings suggest that college students’ writing skills can be identified and instructors can use it as reference material in writing classes to help improve students’ skill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4.24.08.4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