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현실 기반의 정비 훈련 콘텐츠 개발 및 사용자 경험 평가: 철도차량 구동장치를 중심으로
철도차량 구동장치의 정비 과정은 분해, 세척, 윤활, 조립 및 검사 등을 진행하는 복잡한 절차로 이루어져 정비원들이 훈련을 수행하기에 어렵다. 기존의 정비 훈련은 OJT 기반의 현장 훈련으로 수행되어 왔다. 하지만 작업 정보를 구두로 정비원들에게 전달하기 때문에 기존 정비 매뉴얼과 연계하여 학습하기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훈련 기법을 개선하였다. 정비원은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현장 작업장에서 효율적으로 작업 정보에 접근하여 정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기존 매뉴얼의 정...
Saved in:
| Published in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4; no. 7; pp. 1609 - 1616 |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07.2023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598-2009 2287-738X |
| DOI | 10.9728/dcs.2023.24.7.1609 |
Cover
| Summary: | 철도차량 구동장치의 정비 과정은 분해, 세척, 윤활, 조립 및 검사 등을 진행하는 복잡한 절차로 이루어져 정비원들이 훈련을 수행하기에 어렵다. 기존의 정비 훈련은 OJT 기반의 현장 훈련으로 수행되어 왔다. 하지만 작업 정보를 구두로 정비원들에게 전달하기 때문에 기존 정비 매뉴얼과 연계하여 학습하기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훈련 기법을 개선하였다. 정비원은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현장 작업장에서 효율적으로 작업 정보에 접근하여 정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기존 매뉴얼의 정비 절차 외에도 상/하부 구조, 작업 노하우 등의 유용한 정보를 제공받는다. 개발된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평가하기 위해 40명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체 평균은 4.12로 매우 높아 훈련 매체로서의 유용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maintenance process of a driving gear unit consists of complex procedures such as disassembly, cleaning, lubrication, assembly, and inspection, which make it difficult for maintenance staff to receive training. Existing maintenance training has been conducted using the field training method based on on-the-job training. However, this training method was challenging to implement due to the lack of connection with existing maintenance manuals, as work information was primarily delivered orally to the staff. In this study, the training method was improved using virtual reality techniques to solve these problems. Maintenance staff can efficiently access work information and receive support at the work site using mobile devices. Additionally, the method provides useful information such as upper/lower hierarchy, work know-how, and maintenance processes in the existing manual.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40 participants to evaluate the user experience of the training content. The results showed a very high overall mean of 4.12, indicating that the training method was highly useful. KCI Citation Count: 0 |
|---|---|
| Bibliography: | http://dx.doi.org/10.9728/dcs.2023.24.7.1609 |
| ISSN: | 1598-2009 2287-738X |
| DOI: | 10.9728/dcs.2023.24.7.1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