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테인먼트적 측면에서 본 역사영화 연구-〈광해, 왕이 된 남자〉를 중심으로
역사영화는 관객에게 재미를 통해 역사정보와 다양한 역사해석의 기회를 준다는 점에서 에듀테인먼트적 기능을 가진다. 본고는 역사적 핍진성과 역사적 개연성 측면에서 논쟁적인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의 분석을 통해 역사영화의 에듀테인먼트적 순기능과 역기능을 검토하였다. <광해, 왕이 된 남자>는 스토리텔링과 시각적 이미지를 통해 관객의 흥미를 일으키는 한편, 이를 통해 효율적 역사학습과 역사해석의 다양성 등을 학습하게 하여 에듀테인먼트적으로 긍정적인 가치를 가졌지만, 재미를 위해 가공한 왜곡된 역사정보와 일방적인...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4(10) Vol. 24; no. 10; pp. 227 - 239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01.10.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4.24.10.227 |
Cover
Summary: | 역사영화는 관객에게 재미를 통해 역사정보와 다양한 역사해석의 기회를 준다는 점에서 에듀테인먼트적 기능을 가진다. 본고는 역사적 핍진성과 역사적 개연성 측면에서 논쟁적인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의 분석을 통해 역사영화의 에듀테인먼트적 순기능과 역기능을 검토하였다. <광해, 왕이 된 남자>는 스토리텔링과 시각적 이미지를 통해 관객의 흥미를 일으키는 한편, 이를 통해 효율적 역사학습과 역사해석의 다양성 등을 학습하게 하여 에듀테인먼트적으로 긍정적인 가치를 가졌지만, 재미를 위해 가공한 왜곡된 역사정보와 일방적인 세계관 주입 문제도 공존하고 있었다. 이에 본고는 공공역사로서 역사영화의 에듀테인먼트적 기능에 주목하고 영화제작의 첫단계인 프리프로덕션단계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에듀테인먼트적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제언을 하였다. Historical films have an edutainment function. This paper analyzed the edutainment function of the film . had positive edutainment value by presenting efficient historical learning and diverse historical interpretation through storytelling and visual images, but it also had problems with distorted historical information and one-sided worldview injection. Accordingly, we focused on the edutainment function of historical films as public history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pre-production stage, and made suggestions to strengthen the edutainment function.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4.24.1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