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재활사와 유아교사의 문제행동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언어재활사 및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현장에서의 경험을 중심으로 문제행동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지도과정에서 느꼈던 어려움과 지원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언어재활사 9명, 유아교사 6명으로 총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술개별면담으로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근거이론의 비교분석을 활용하였다. 결과: 3개의 주제와 11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3개의 주제는 문제행동 인식, 문제행동의 경험, 문제행동 개선을 위한 지원이었다. 3개의 대 주제 아래 하위 주제는 문제행...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33; no. 4; pp. 99 - 112
Main Authors 박순호(Soon Ho Park), 김시영(Si Yung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01.10.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24.33.4.09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본 연구는 언어재활사 및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현장에서의 경험을 중심으로 문제행동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지도과정에서 느꼈던 어려움과 지원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언어재활사 9명, 유아교사 6명으로 총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술개별면담으로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근거이론의 비교분석을 활용하였다. 결과: 3개의 주제와 11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3개의 주제는 문제행동 인식, 문제행동의 경험, 문제행동 개선을 위한 지원이었다. 3개의 대 주제 아래 하위 주제는 문제행동의 정의, 떠오르는 이미지, 문제행동 요인, 지도가 요구되는 문제행동, 문제행동 지도의 어려움, 문제행동 지도 과정에서의 고민, 대처의 어려움, 가정협력, 기관장, 동료, 타 전문가 협력 및 조언, 제도적 개선이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언어재활사는 공격, 폭력행동을 문제행동으로, 유아교사는 방해행동을 심각한 문제행동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문제행동의 요인으로는 장애아의 경우 장애유형과 기질적 요인을, 일반아의 경우는 기질과 양육환경을 문제행동의 주요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문제행동 지도에서 언어재활사는 치료시간의 제한, 부모의 비협조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유아교사는 집단활동으로 문제행동을 나타낸 아동을 즉각적으로 다루기 어렵거나, 다수아동에게 피해가 될 것을 우려하고 있었다. 문제행동 개선을 위한 지원으로 유아교사는 부모교육, 보조인력 투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언어재활사는 부모교육과 함께 타 기관과 협업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 슈퍼바이저 도입, CCTV 의무화, 문제행동 지도 등이 현장에서 일반화되어 학습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원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cognition of problem behavior among SLPs and ECTs. Also, we tried to grasp the difficulties in the guidance process and the demands for support. Methods: A total of 15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 including nine SLPs and six ECTs. All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ough individual oral interviews. Comparative analysis of grounded theory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re were three topics and 11 sub-topics. Topics included recognition, experience of problem behavior, and support for improving problem behavior. Sub-topics included the definition, image, and factor of problem behavior; problem behavior requiring guidance; difficulties and worries in the guidance process; difficulties of coping; family cooperation; advice from heads of institution, colleagues, and other experts;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SLPs perceived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as problem behaviors, and ECTs perceived disturbing behavior as serious problem behaviors. The type of disability and temperamental factors were recognized as major facto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ile the temperamental factors and parenting environment were recognized as major factors for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In the guidance process of problem behavior, SLPs were struggling with limited treatment time and non-cooperation from parents, while ECTs experienced difficulty dealing with children immediately who showed problem behavior because it would harm other children. As support for improving problem behavior, ECTs hoped parental education and input from assistants would continue. In addition to parental education, SLPs wanted to collaborate with other institutions, introduce supervisors, make CCTV mandatory, and generalize problem behavior guidance methods.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jslhd.org/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24.33.4.0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