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의 순한 기질 성향과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유아의 실행기능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본 연구는 유아의 순한 기질 성향과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유아의 실행기능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규명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만 3세~5세의 자녀를 가진 어머니 1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 후 SPSS 25.0 프로그램과 AMOS 23.0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순한 기질 성향,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 유아의 실행기능 및 친사회적 행동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순한...
Saved in:
Published in | 가정과삶의질연구 Vol. 40; no. 2; pp. 1 - 15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가정과삶의질학회
01.06.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765-1932 2765-2432 |
DOI | 10.7466/JFBL.2022.40.2.1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유아의 순한 기질 성향과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유아의 실행기능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규명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만 3세~5세의 자녀를 가진 어머니 1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 후 SPSS 25.0 프로그램과 AMOS 23.0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순한 기질 성향,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 유아의 실행기능 및 친사회적 행동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순한 기질 성향과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유아의 실행기능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내·외적 변인의 중요성을 밝힘으로써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도모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요인과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preschoolers’ docile temperament influenced prosocial behavior. We also examined whether maternal positive parenting and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s worked as single and serial dual mediators between preschoolers’ docile temperament and prosocial behavior.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84 mothers with preschoolers aged three to five. Data was analyzed by SPSS 25.0 and AMOS 23.0.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preschoolers’ docile temperament, maternal positive parenting, executive functions and prosocial behavior. Second, the serial dual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positive parenting and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ocile temperament and prosocial behavior.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on factors to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preschoolers’ prosocial programs to promote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 by revealing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internal and external variables affecting their prosocial behavior.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765-1932 2765-2432 |
DOI: | 10.7466/JFBL.2022.4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