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의 학생 평가를 지원하기 위한 인공지능 방향 탐색 : 해외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교사가 학생을 평가하는 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기술의 활용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해외의 평가 지원 인공지능 사례를 검토하여 우리나라 평가 지원 인공지능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해외의 평가 지원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해당 서비스가 제공하는 기능 및 요소를 평가 대상 범위, 평가 과정, 평가 결과 제시 영역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학생 평가를 지원하는 인공지능은 모든 학교급...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4(5) Vol. 24; no. 5; pp. 10 - 21
Main Authors 김동진(Dong-Jin Kim), 김동근(Dong-Keun Kim), 김기범(Ki-Bum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01.05.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4.24.05.01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교사가 학생을 평가하는 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기술의 활용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해외의 평가 지원 인공지능 사례를 검토하여 우리나라 평가 지원 인공지능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해외의 평가 지원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해당 서비스가 제공하는 기능 및 요소를 평가 대상 범위, 평가 과정, 평가 결과 제시 영역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학생 평가를 지원하는 인공지능은 모든 학교급과 모든 과목에서 활용 가능해야 한다. 둘째, 인공지능이 제공하는 기능은 교사의 평가 업무 과정과 흐름을 고려해야 한다. 셋째, 인공지능을 활용한 평가 과정과 평가 결과가 대시보드를 통해 객관적이고 효과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넷째, 평가 과정을 지원하는 인공지능은 국가 교육과정과 부합하는 방향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인공지능 기술의 잠재력을 교육적 목적에 부합하게 활용하는 것은 학교 현장의 평가 체계를 보다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는 기회가 된다. 본 연구는 학교 평가에서의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논의의 폭을 확장하고, 향후 인공지능 평가 지원 서비스 연구 및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rection of Korea's assessment support artificial intelligence(AI) by reviewing overseas cases of assessment support AI. Focusing on overseas assessment support AI, the functions and elements provided by these ai assessment support AI services were analyzed. The analysis criteria were divided into the scope of assessment target, assessment process, and assessment result presentation area. The implications through analysis of overseas cases are as follows. First, assessment support AI should be available at all school levels and in all subjects. Second, the functions provided by assessment support AI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teacher's assessment work process and flow. Third, the assessment process and results through AI should be presented objectively and effectively. Fourth, assessment support AI should be structured in a way that is consistent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Utilizing the potential of AI technology for educational purposes is an opportunity to make the assessment system in schools more effective. This study will expand the scope of discussion on the utilize of assessment support AI and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future assessment support AI services. KCI Citation Count: 0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4.24.05.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