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룡강 유역의 TOC 부하량 예측을 위한 SWAT-C 모형의 적용 및 평가
목적: 본 연구는 국내 유역 수계 내 총유기탄소를 예측하기 위해 최근 개발된 SWAT-C 수질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SWAT-C 모형은 황룡강 유역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SWAT-C는 유역 규모에서 탄소 순환을 모의하는 SWAT 모형의 고도화된 버전이다. SWAT-C 모형은 안정화 기간 2년(2010-2011), 보정 6년(2012-2017), 검정 3년(2018-2020) 기간으로 구성된 총 11년(2010-2020)동안 모의하였다. SWAT-C는 월별 유량 및 TOC 부하량에 대해 검보정 되...
Saved in:
Published in | Daehan hwan'gyeong gonghag hoeji Vol. 44; no. 10; pp. 354 - 365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환경공학회
01.10.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5025 2383-7810 |
DOI | 10.4491/KSEE.2022.44.10.354 |
Cover
Summary: | 목적: 본 연구는 국내 유역 수계 내 총유기탄소를 예측하기 위해 최근 개발된 SWAT-C 수질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SWAT-C 모형은 황룡강 유역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SWAT-C는 유역 규모에서 탄소 순환을 모의하는 SWAT 모형의 고도화된 버전이다. SWAT-C 모형은 안정화 기간 2년(2010-2011), 보정 6년(2012-2017), 검정 3년(2018-2020) 기간으로 구성된 총 11년(2010-2020)동안 모의하였다. SWAT-C는 월별 유량 및 TOC 부하량에 대해 검보정 되었다. 모델 성능은 NSE(Nash-Sutcliffe Efficiency), KGE(Kling-Gupta Efficiency), PBIAS(Percent bias)를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보정된 모델 결과를 바탕으로 월별 DOC 및 POC 부하를 예측하였다. 결과 및 토의: 보정 결과는 SWAT-C 모형의 모델성능 (NSE > 0.5, KGE > 0.5, PBIAS =< 25%)으로 유량 및 TOC 부하를 나타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TOC 부하의 계절적 변화는 SWAT-C 모형에 의해 잘 모의되었다. TOC 부하는 강수량이 많은 여름철에 증가하며 그 외 계절은 다소 낮게 예측되었다. 이 계절적 패턴은 여름철에 빈번한 강우 현상으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월별 POC와 DOC 결과도 여름철에는 큰 부하를 보이며 그 외 계절에는 낮은 부하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SWAT-C 모형이 충분한 예측 정확도로 국내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그러므로, SWAT-C는 국내의 TOC 부하를 모니터링하는 효율적인 도구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applicability of the SWAT-C water quality model recently developed to predict in-stream Total Organic Carbon (TOC) in a watershed within South Korea. Methods: The SWAT-C model was tested in the Hwangryong River Watershed. SWAT-C is an advanced version of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to simulate carbon cycling at the watershed scale. The model was simulated for 11 years (2010-2020) consisting of 2-year warm-up (2010-2011), 6-year calibration (2012-2017), and 3-year validation (2018-2020) periods. SWAT-C was calibrated and validated against monthly streamflow and TOC loads. The model performance was evaluated using NSE (Nash-Sutcliffe efficiency), KGE (Kling-Gupta efficiency), and PBIAS (percent bias) Based on the calibrated model results, this study showed predicted monthly Dissolve Organic Carbon (DOC) and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loads. Results and Discussion: The calibration results showed that SWAT-C could depict streamflow and TOC loads with acceptance model performances (NSE > 0.5, KGE > 0.5 and PBIAS =< 25%). Especially, the seasonal variations of TOC loads were well simulated by SWAT-C. The TOC load was predicted to increase in the summer season with high precipitation and slightly lower in the other seasons. This seasonal pattern is thought to be due to frequent rainfall in summer.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WAT-C model is applicable in South Korea with sufficient prediction accuracy. Thus, SWAT-C would serve as an efficient tool to monitor TOC loads in South Korea. KCI Citation Count: 1 |
---|---|
ISSN: | 1225-5025 2383-7810 |
DOI: | 10.4491/KSEE.2022.44.10.35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