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의 번역, 번역의 사상: 번역을 통해 본 강정인의 정치사상
정치사상사 연구와 번역은 뗄 수 없는 필연적 관계를 맺고 있다. 정치학자 강정인의 경우, 그의 많고도 넓은 연구에서 번역에 대한 관심이 특히 두드러진다. 이 글은 한국의 대표적 정치학자이자 번역자인 강정인이 무엇을, 어떻게, 왜 번역했는지를 살펴보고, 그의 번역이 가지는 학문적 의미를 강정인의 정치학이 던지는 핵심 질문인 ‘민주주의’와 ‘서구중심주의 극복’과 관련해 평가한다. 한국 사회의 근대화와 민주화에 대한 강정인의 지향과 관심은 필연적으로 앞서 근대화하고 민주화한 서구의 사상을 번역하는 것으로 이어졌다. 그것이 불가피하게 한국...
Saved in:
Published in | 현대정치연구 Vol. 17; no. 1; pp. 91 - 116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01.04.2024
현대정치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976-9466 2635-6015 |
DOI | 10.52594/jcp.2024.04.17.1.91 |
Cover
Summary: | 정치사상사 연구와 번역은 뗄 수 없는 필연적 관계를 맺고 있다. 정치학자 강정인의 경우, 그의 많고도 넓은 연구에서 번역에 대한 관심이 특히 두드러진다. 이 글은 한국의 대표적 정치학자이자 번역자인 강정인이 무엇을, 어떻게, 왜 번역했는지를 살펴보고, 그의 번역이 가지는 학문적 의미를 강정인의 정치학이 던지는 핵심 질문인 ‘민주주의’와 ‘서구중심주의 극복’과 관련해 평가한다. 한국 사회의 근대화와 민주화에 대한 강정인의 지향과 관심은 필연적으로 앞서 근대화하고 민주화한 서구의 사상을 번역하는 것으로 이어졌다. 그것이 불가피하게 한국 사회를 어느 정도 서구화하는 것을 의미했지만, 강정인은 그 부분적 서구화 과정을 거쳐 한국이 궁극적으로 사상적ㆍ학문적 주체성을 획득할 수 있으리라 믿었다. 또한 강정인은 한국어로 번역된 학문이 설령 그 출처가 서구의 것이더라도, 영어로 하는 학문이 귀족정체를 지향하는 것과 다르게, 민주정체를 지향한다고 생각했다. 번역이 소수가 지식을 독점하는 것을 막고 지식에 대한 대중의 접근을 허용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한국 사회의 민주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그에게 번역은 한국 사회의 민주화와 서구중심주의 극복의 핵심 도구였다. The study of the history of political thought and translation have an inseparable relationship. In the case of Korean political scientist Kang Jung In, his interest in translation is particularly noticeable through his numerous academic works. This article examines what, how, and why he translated, and evaluates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his translation in relation to his key questions, ‘democracy’ and ‘overcoming Western-Centrism’. Kang’s intention and interest in the modernization and democratization of South Korean society inevitably led to the translation of the ideas of the previously modernized and democratized Western societies. Although this meant westernizing Korean society to some extent, Kang believed that Korea could ultimately acquire ideological and academic independence through the partial westernization. Kang also thought that, even though the knowledge translated into Korean was from the West, the academic activities in Korean were aimed at democracy, unlike those in English at aristocracy. He thought that translation would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democratization of Korean society by preventing the few from monopolizing knowledge and allowing the many access to it. For him, translation was a key instrument for democratization and overcoming Western-Centrism in South Korean society.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976-9466 2635-6015 |
DOI: | 10.52594/jcp.2024.04.17.1.9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