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학습자의 고등교육 참여 성과와 영향요인 분석: LiFE 1.0 사업 일반대학 참여자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학습자의 고등교육 참여 성과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LiFE 참여 일반대학을 졸업한 성인학습자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고,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의 ‘LiFE졸업생 실태 및 후학습 경로 조사’의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모형에서 교육성과는 인지적·사회적·실용적 성과로, 교육성과에 미치는영향요인은 개인배경, 교육기회, 교육과정군으로 설정하고, 기술통계분석과단계적 다량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연령과 소득에 따른 교육성과 차이가 확인되었다. 반면, 교육기회와 교...
Saved in:
Published in | 평생학습사회 Vol. 20; no. 2; pp. 113 - 141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01.05.2024
미래원격교육연구원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0057 2671-8332 |
DOI | 10.26857/JLLS.2024.5.20.2.113 |
Cover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학습자의 고등교육 참여 성과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LiFE 참여 일반대학을 졸업한 성인학습자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고,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의 ‘LiFE졸업생 실태 및 후학습 경로 조사’의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모형에서 교육성과는 인지적·사회적·실용적 성과로, 교육성과에 미치는영향요인은 개인배경, 교육기회, 교육과정군으로 설정하고, 기술통계분석과단계적 다량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연령과 소득에 따른 교육성과 차이가 확인되었다. 반면, 교육기회와 교육과정군 변인을 동시에 분석모형에 추가하였을 때 연령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explored the educational outcomes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ng inhigher education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m. To this end, first, adult learnerswho graduated from 4-year universities participating in the ‘Lifelong Education atuniversities for the Future of Education (LiFE)’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the analysis. Second, data from the Nation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s‘Survey on the Status of LiFE Graduates and Post-Learning Paths’ were used forthe analysis. Third, in the analysis model, the educational outcomes werecategorized into cognitive, social, and practical domains, with factors influencingthem divided into individual backgrounds, educational opportunity, and educationalprogram groups. Last, descriptive statistic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revealed differences in educational outcomesby age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However, the effect of age on educationaloutcom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educational opportunity andeducational program groups were simultaneously added to the analysis model. KCI Citation Count: 4 |
---|---|
ISSN: | 1738-0057 2671-8332 |
DOI: | 10.26857/JLLS.2024.5.20.2.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