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폐소생술 중 이동 방향에 따른 가슴압박의 효율성 비교 - 병원 내 시뮬레이션
이 연구는 심폐소생술 중 이동 방향에 따라 가슴압박 시행 시 효율성을 검증하고, 고품질의 심폐소생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BLS Provider를 이수한 응급구조학과 학생 28명을 무작위 교차방법(Randomized crossover design)에 따른 실험연구로 자료 분석은 SPSS 25.0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후방이동으로 시행한 가슴압박이 전방 이동의 가슴압박보다 안정성과 위험성에 차이가 있었으며 (p=0.000), 가슴압박의 평균 깊이가 깊게 나타났다(p=0.000). 본 연구의 결과를 종...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 28; no. 8; pp. 997 - 1003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정보통신학회
01.08.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34-4772 2288-4165 |
DOI | 10.6109/jkiice.2024.28.8.997 |
Cover
Summary: | 이 연구는 심폐소생술 중 이동 방향에 따라 가슴압박 시행 시 효율성을 검증하고, 고품질의 심폐소생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BLS Provider를 이수한 응급구조학과 학생 28명을 무작위 교차방법(Randomized crossover design)에 따른 실험연구로 자료 분석은 SPSS 25.0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후방이동으로 시행한 가슴압박이 전방 이동의 가슴압박보다 안정성과 위험성에 차이가 있었으며 (p=0.000), 가슴압박의 평균 깊이가 깊게 나타났다(p=0.000).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이동 중 심폐소생술 시 전방 이동이 아닌 구조자의 후방이동 수행이 더욱 정확도가 높아지고 가슴압박 깊이가 나아져 질적 지표가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추가로 이동 방향 활용에 관한 연구를 통해 임상적 이용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hest compression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during CPR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high-quality CPR.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8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MS who had completed the BLS Provider course and were selected through a randomized crossover design, and SPSS 25.0 was us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chest compressions performed in the backward movement showed differences in stability and risk compared to chest compressions in the forward movement(p=0.000), and the average depth of chest compressions was also deeper(p=0.000). When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qualitative index of chest compressions was improved due to greater accuracy and improved depth in the rescuer's backward movement rather than forward movement during CPR during movement. Additionally, it will be necessary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clinical use through research on the use of movement direction.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jkiice.org |
ISSN: | 2234-4772 2288-4165 |
DOI: | 10.6109/jkiice.2024.28.8.9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