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에이전트 NPC를 적용한 생존형 RPG 게임 설계

본 논문은 생성형 에이전트 기술로 구동되는 NPC를 통합한 생존형 RPG 게임 설계를 다룬다. 연구의 핵심은 게임 환경과 플레이어의 행동 변화에 맞춰 NPC의 대화와 반응이 동적으로 조정되어 상호작용성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 방식은 NPC와의 교류를 혁신적으로 개선하며 게임 스토리를 풍부하게 하여, 매번 다른 게임 플레이 경험을 제공한다. 또한, NPC 상호 작용 중 발생할 수 있는 부적절한 언어를 차단하기 위한 고급 필터링 시스템 구현에 대해서도 연구한다. 이러한 NPC의 역동적 변화는 플레이어의 몰입감과 재플레이 가치를 높이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4; no. 12; pp. 3081 - 3088
Main Authors 정소미(So-Mi Jeong), 권동환(Dong-Hwan Kwon), 정은미(Eun-Mi J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12.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23.24.12.308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논문은 생성형 에이전트 기술로 구동되는 NPC를 통합한 생존형 RPG 게임 설계를 다룬다. 연구의 핵심은 게임 환경과 플레이어의 행동 변화에 맞춰 NPC의 대화와 반응이 동적으로 조정되어 상호작용성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 방식은 NPC와의 교류를 혁신적으로 개선하며 게임 스토리를 풍부하게 하여, 매번 다른 게임 플레이 경험을 제공한다. 또한, NPC 상호 작용 중 발생할 수 있는 부적절한 언어를 차단하기 위한 고급 필터링 시스템 구현에 대해서도 연구한다. 이러한 NPC의 역동적 변화는 플레이어의 몰입감과 재플레이 가치를 높이며, AI와 게임 디자인의 결합에 있어 발전을 가져올 것이다. 이런 혁신적인 통합은 게임 엔터테인먼트를 넘어 미래 게임 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s the design of a survival RPG game featuring NPCs powered by generative agent technology. Central to this study is the enhancement of NPC interactivity through the dynamically adapting dialogs and responses to player actions and the game’s evolving environment. This approach not only revolutionizes NPC engagement but also significantly enriches the gaming narrative, offering a varied experience in each playthrough. The study further explores the implementation of a sophisticated filtering system to mitigate potential profanities during NPC interactions, fostering a refined gaming experience. These advancements are set to deepen player immersion and increase replayability, signifying a significant advancement in the combination of AI and game design. This innovative integration's implications transcend mere entertainment, indicating a transformative impact on future game development paradigms. KCI Citation Count: 0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23.24.12.30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