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장애학생 주양육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학생 주양육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자폐성 장애학생의 주양육자 309명과 지적 장애학생의 주양육자 172명으로 총 481명이었으며, 전국 장애인 부모단체 SNS를 통해 지원자를 표집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자신이 인식하고 있는 삶의 질, 가족 지지, 사회적 지지 및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전자 설문지에 응답하였으며, 두 독립표본 t 검증, 분산분석, 상관계수,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발달장애학생의 주장애, 학교급,...
Saved in:
| Published in | 특수교육논총 Vol. 40; no. 4; pp. 147 - 168 |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01.11.2024
특수교육연구소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2466-1872 2672-104X |
| DOI | 10.31863/JSE.2024.11.40.4.147 |
Cover
| Summary: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학생 주양육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자폐성 장애학생의 주양육자 309명과 지적 장애학생의 주양육자 172명으로 총 481명이었으며, 전국 장애인 부모단체 SNS를 통해 지원자를 표집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자신이 인식하고 있는 삶의 질, 가족 지지, 사회적 지지 및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전자 설문지에 응답하였으며, 두 독립표본 t 검증, 분산분석, 상관계수,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발달장애학생의 주장애, 학교급, 배치유형에 따라 주양육자의 삶의 질에 차이가 있었다. 발달장애학생 주양육자의 학력에 따라 주양육자의 삶의 질에 차이가 있었다. 발달장애학생 주양육자의 삶의 질은 가족 지지와 사회적 지지와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양육스트레스와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가족 지지의 하위영역인 도구적 지지와 정서적 지지, 사회적 지지의 하위영역인 정서적 지지와 물질적 지지, 양육스트레스의 하위영역인 자녀 요인과 부모 요인이 발달장애학생 주양육자의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 발달장애학생 주양육자의 삶의 질, 가족 지지와 사회적 지지를 향상시키고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프로그램과 지원 정책을 개발 시 발달장애학생 주양육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quality of life of the primary caregive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 The data on quality of life, family support,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of 481 primary aregiver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collected through an electronic questionnaire, Descriptive statistics and two independent samples t test, F 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implemented for analyzing the data. Result: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of the guality of life of the primary caregivers acording to the individual varialble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of the guality of life of the primary caregivers acording to their the individual varialbles. Lastly, family support and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primary caregiver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the contrary, parenting stess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primary caregiver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clusion: The type of developmental disability, educational placement, family support,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stess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programs and polici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primary careginer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KCI Citation Count: 0 |
|---|---|
| ISSN: | 2466-1872 2672-104X |
| DOI: | 10.31863/JSE.2024.11.40.4.1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