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후 활주형 가동형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대퇴 치환물의 파손

저자들은 내원 7년 전 전후 활주형 가동형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고 4주 전 극심한 좌측 슬관절 통증과 굴곡 제한이 발생한 78세 여자 환자에서 대퇴 치환물의 파손을 진단하고 재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슬관절 전치환술 후 대퇴 치환물의 파손은 드문합병증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인자들이 대퇴 치환물의 파손의 원인으로 이해되고 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authors diagnosed femoral component fracture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TKA) using...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57; no. 4; pp. 339 - 344
Main Authors 정광환(Kwang-Hwan Jung), 나성천(Sung-Cheon Na), 최소연(So-Yeon Choi), 박기봉(Ki-Bong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정형외과학회 01.08.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102
2005-8918
DOI10.4055/jkoa.2022.57.4.33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저자들은 내원 7년 전 전후 활주형 가동형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고 4주 전 극심한 좌측 슬관절 통증과 굴곡 제한이 발생한 78세 여자 환자에서 대퇴 치환물의 파손을 진단하고 재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슬관절 전치환술 후 대퇴 치환물의 파손은 드문합병증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인자들이 대퇴 치환물의 파손의 원인으로 이해되고 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authors diagnosed femoral component fracture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TKA) using an anterior-posterior glide mobile-bearing system in a 78-year-old female patient who visited with severe pain and flexion limitations in the left knee and performed revision TKA. The fracture of the femoral component after TKA is a rare complication, and various factors cause the fracture of the femoral component. This case is reported along with a literature review.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s://jkoa.org/DOIx.php?id=10.4055/jkoa.2022.57.4.339
ISSN:1226-2102
2005-8918
DOI:10.4055/jkoa.2022.57.4.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