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동 온실 방향에 따른 씨 없는 수박의 생육 환경 요인 및 과실 비대
본 연구는 2021년 7월 8일부터 8월 4일까지 온실 방향에 따른 온실 내부 환경요소, 광합성 요소, 그리고 이에 따른 과실 비대 량 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온실은 전북 고창에 위치한 수박 재배 단동 온실(폭 × 높이 × 길이 = 6.0 × 3.3 × 100m)로 방향은 동서(동 → 서, EW)와 남동북서(남동 → 북서, SENW)였다. 과실 비대기 4주 동안 일평균 광도, 일평균 기온, 일평균 주간온도 모두 SENW 온실에서 EW 온실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일중 광도는 일출부터 13:00 정도까지 SENW 온...
Saved in:
Published in | Weon'ye gwahag gi'sulji Vol. 40; no. 5; pp. 525 - 538 |
---|---|
Main Authors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원예학회HST
01.10.2022
한국원예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8763 2465-8588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2021년 7월 8일부터 8월 4일까지 온실 방향에 따른 온실 내부 환경요소, 광합성 요소, 그리고 이에 따른 과실 비대 량 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온실은 전북 고창에 위치한 수박 재배 단동 온실(폭 × 높이 × 길이 = 6.0 × 3.3 × 100m)로 방향은 동서(동 → 서, EW)와 남동북서(남동 → 북서, SENW)였다. 과실 비대기 4주 동안 일평균 광도, 일평균 기온, 일평균 주간온도 모두 SENW 온실에서 EW 온실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일중 광도는 일출부터 13:00 정도까지 SENW 온실 에서 EW 온실보다 높게 유지되었고, 이에 따라 조사기간 동안 일평균 적산일사량도 높게 유지되었다. 오전 11시경 착과 부위 엽 근처의 평균 광도는 SENW 온실에서 EW 온실의 408.13µmol·m-2·s-1보다 2배정도 높았고, 평균 증산속도도 SENW 온실 에서 6.53mmol·m-2·s-1로 EW의 4.75mmol·m-2·s-1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엽온 - 기온은 SENW 온실에서 –6.16°C로 EW 온 실의 –8.46°C보다 작았고, 두 온실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엽온과 엽온 - 기온은 수증기압포차(R = 0.904**, 0.799*), 광도는 증산속도(R = 0.856**)와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광도는 엽온에, 엽온은 엽온 - 기온에 영향을 유의하게 주 었다. 4주 동안 총 과실 체적 증가량은 SENW 온실에서 6,226.8cm3·fruit-1로 EW 온실의 4,755.3cm3·fruit-1보다 약 1.5배 많 았고, 그것은 적산일사량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따라서 여름철에 수박을 재배하는 단동 온실의 방향은 광 환경 및 과실 비대에 영향을 주고, 온실 방향은 동서보다 남북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internal environmental factors, photo- synthetic factors, and increment of fruit volume according to direction of the greenhouse grown watermelon (Citrulls lanatus). The greenhouse was single-span type, and the directions were east-west (EW) and southeast-northwest (SENW). During research period, daily average intensity of solar radiation (ISR), air temperature, and air temperature in daytime were all significantly higher in SENW than in the EW. The solar radiation intensity in the SENW from sunrise to about 13:00 was maintained higher than in EW greenhouse, and accordingly, daily integrated solar radiation was maintained high during the research period. In near plant leaves on fruiting part at around 11 am, ISR in the SENW was twice as high as 408.13 µmol·m -2 ·s -1 in EW. And transpiration rate was 6.53 mmol·m -2 ·s -1 in the SENW greenhouse. I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4.75 mmol·m -2·s -1 in EW. The difference between leaf temperature and air temperature values (DV)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W than in SENW. Leaf temperature and DV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vapor pressure deficit (R = 0.904**, 0.799*), and ISR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transpiration rate (R= 0.856**). And ISR affected leaf temperature, and leaf temperature affected DV. The total increment of fruit volume during 4 weeks was 6,226.8 cm3 ·fruit in SENW, which was about 1.5 times higher than that of 4,755.3 cm3 ·fruit-1 in EW. This result was greatly affected by daily integrated solar radiation. Therefore, direction of single-span greenhouse in summer cultivation affects amount and intensity of solar radiation and fruit enlargement, and the direction of south-north is more suitable than that of east-west. KCI Citation Count: 2 |
---|---|
ISSN: | 1226-8763 2465-858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