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 매체에서 텍스트 마이닝 분석한 한국의 저출산 요인 : 네이버 뉴스 기사 댓글 중심으로

한국 저출산 문제는 단순한 인구감소 이상의 심각한 문제로, 경제, 사회, 복지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복합적인 요인들로 인해 출산율은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기존 요인분석 연구들은 특정 기사 내용에 기반한 제한적인 범위로, 저출산 대응의 성격을 포괄적으로 바라보는 데에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주관적 해석이라는 기존 질적 분석에서 나타나는 단점을 보완하고, 다수 대중의 의견을 반영한 양적 분석을 통해 신뢰도와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텍스트 마이닝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2022년 3월부터 20...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4(10) Vol. 24; no. 10; pp. 321 - 330
Main Authors 남가영(Ga-Young Nam), 김용민(Yong-Min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01.10.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4.24.10.32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한국 저출산 문제는 단순한 인구감소 이상의 심각한 문제로, 경제, 사회, 복지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복합적인 요인들로 인해 출산율은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기존 요인분석 연구들은 특정 기사 내용에 기반한 제한적인 범위로, 저출산 대응의 성격을 포괄적으로 바라보는 데에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주관적 해석이라는 기존 질적 분석에서 나타나는 단점을 보완하고, 다수 대중의 의견을 반영한 양적 분석을 통해 신뢰도와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텍스트 마이닝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2022년 3월부터 2023년 8월까지 기간 중의 네이버 뉴스 댓글을 수집하여 대중들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였다. 분석 결과, 저출산 잠재요인으로 총 9가지를 식별하였고, 기존 연구와 비교하여 유사한 토픽 6가지와 본 연구에서만 나타난 토픽 3가지를 바탕으로 저출산 문제를 분석 및 논의하였다. South Korea's declining birthrate is more than just a population issue, it is a serious problem that affects various sectors, including the economy, society, and welfare, and is caused by a combination of factors. Existing factor analysis studies have a limited scope based on the content of specific articles, which limits their ability to provide a comprehensive view of the nature of the response to the declining birthrate. In this study, we used a text mining method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existing qualitative analysis, which is subjective interpretation by researchers, and to increase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that reflects the opinions of the majority of the public, and collected comments on Naver News from March 19, 2022 to August 24, 2023 to reflect the diverse opinions of the public.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identified a total of nine potential factors for the declining birthrate, and analyzed and discussed the issue of the declining birthrate based on six similar topics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and three topics unique to this study. KCI Citation Count: 0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4.24.1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