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키예 내 대학의 한국어문학과 교육과정 현황 분석과 내실화 방안 연구 : 이스탄불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육과정 사례를 중심으로
튀르키예는 관 주도형 대학교육의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상 고등교육위원회의 권고에 따른 5년제 교육과정의 도입은 거의 재론의 여지가 없다. 따라서 기존 한국어문학과 운영 대학의 교육과정 개편은 물론 신설 예정인 여러 대학의 교육과정 설계에 있어서 이스탄불대학교의 사례는 반드시 참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튀르키예 소재 대학의 한국어문학과 교육과정 현황을 분석했고 이를 바탕으로 그 내실화 방안을 제안했다. 먼저 기존 한국어문학과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앙카라대학교와 에르지예스대학교, 그리고 이스탄불대...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Vol. 46; no. 4; pp. 325 - 367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학중앙연구원
01.12.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671-8197 2733-936X |
Cover
Summary: | 튀르키예는 관 주도형 대학교육의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상 고등교육위원회의 권고에 따른 5년제 교육과정의 도입은 거의 재론의 여지가 없다. 따라서 기존 한국어문학과 운영 대학의 교육과정 개편은 물론 신설 예정인 여러 대학의 교육과정 설계에 있어서 이스탄불대학교의 사례는 반드시 참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튀르키예 소재 대학의 한국어문학과 교육과정 현황을 분석했고 이를 바탕으로 그 내실화 방안을 제안했다. 먼저 기존 한국어문학과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앙카라대학교와 에르지예스대학교, 그리고 이스탄불대학교의 교육과정을 확인했다. 세 대학은 공히 4년제 교육과정으로 운영되었으나 그중 이스탄불대학교 한국어문학과는 교육위원회 권고에 따른 5년제 교육과정으로 개편을 먼저 이루었다는 점에서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었다. 이스탄불대학교 한국어문학과의 5년제 교육과정 개편의 과정 및 운영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교육과정 개편과 신설을 앞둔 여타 튀르키예 대학교의 한국어문학과들에 주요한 몇 가지 제언이 이루어졌다. 첫째, 교육과정의 구성에서 언어습득, 취업 역량 강화, 전문 한국학 지식 교육을 두루 포괄할 수 있는 방향이 되어야 한다는 점, 둘째, 영역・교과・학년별 통시적・공시적 짜임을 통해 전체 교육과정이 하나의 유기적 체계가 될 수 있어야 한다는 점, 셋째, 나아가 전문 교원의 충원 및 교재의 개발에서도 영역별 그리고 과목별 연계성에 초점을 맞춰 개설해야 한다는 점 등이 언급되었다. 또한 교육과정에 인턴십 과목을 마련하여 졸업 후 진로를 준비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논의는 튀르키예에 소재한 대학 및 5년제 교육과정으로의 개편을 고려하고 있는 해외 대학에 주요한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그리고 해외 대학의 교육과정을 연구함으로써 표준화된 교육 모델을 마련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하나의 좋은 사례를 제공한다는 점에서도 그 가치가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Turkey has a government-led type of university education. Consequently, there is little room for discussion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a five-year curriculum based on the recommendations of the Higher Education Committee. Therefore, the case of the Istanbul University must be examined in the context of curriculum reform of existing universities operating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s, as well as in the curriculum design of various new universities scheduled to be established.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 curriculum at universities in Turkey and proposed a plan for its improvement. We analyzed the curriculums of the Ankara, Erciyes, and Istanbul Universities, wher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is provided. A four-year curriculum is the standard program offered at most universities. However,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t the Istanbul University merits special attention because it is the first university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to a five-year program in accordance with the recommendations of the Higher Education Committee. By examining the process and operation of the revised curriculum,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to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s at other universities in the country that are planning to reform or establish new curriculums. First,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should be directed to comprehensively encompass language acquisition, employment competency strengthening, and professional Korean studies knowledge education. Second, the entire curriculum must be integrated diachronically and synchronously by area, subject, and grade. Third, the recruitment of professional teacher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should focus on connectivity by area and subject. Additionally, it would be advisable to prepare for a career after graduation by providing an internship subject in the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crucial data to Turkish as well as foreign universities that are considering reforming the curriculum to a five-year program. Additionally, this study could guide the researchers who intend to establish a standardized education model by studying the curriculums of foreign universitie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671-8197 2733-936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