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광농도분석기를 이용한 피코시아닌 농도 측정과 남조류 세포수 추정 연구
조류경보제는 녹조 발생시 안정적으로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관계 기관에서 조치를 취하도록 녹조 발생의 정도에 따라 주의, 경보, 대발생으로 구분되어 발령하는 제도로 하천 및 호소 중 상수원으로 이용되는 주요 하천 및 호소에 대하여 1998년부터 도입되었다. 국내 상수원을 대상으로 시행되고 있는 조류경보제는 조류 발생 현황을 물관리 기관에 전파하여 대응 및 조치를 유도하는 제도로 신속하고 정확한 조류 계수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조류경보제 발령 기준 대상 남조류가 과다증식하는 시기인 여름철 낙동강의 매리교에서 조류 시료를 채집하였...
Saved in:
Published in | Daehan hwan'gyeong gonghag hoeji Vol. 44; no. 12; pp. 569 - 577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환경공학회
01.12.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5025 2383-7810 |
DOI | 10.4491/KSEE.2022.44.12.569 |
Cover
Summary: | 조류경보제는 녹조 발생시 안정적으로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관계 기관에서 조치를 취하도록 녹조 발생의 정도에 따라 주의, 경보, 대발생으로 구분되어 발령하는 제도로 하천 및 호소 중 상수원으로 이용되는 주요 하천 및 호소에 대하여 1998년부터 도입되었다. 국내 상수원을 대상으로 시행되고 있는 조류경보제는 조류 발생 현황을 물관리 기관에 전파하여 대응 및 조치를 유도하는 제도로 신속하고 정확한 조류 계수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조류경보제 발령 기준 대상 남조류가 과다증식하는 시기인 여름철 낙동강의 매리교에서 조류 시료를 채집하였으며,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식물성플랑크톤-현미경계수법으로 세즈윅-라프터 챔버로 격자 계수법을 사용하여 조류 세포수를 검경하였다. LISST-HAB의 Phycocyanin 농도 결과를 통해 파이썬을 활용하여 결정계수(r2) 도출 및 추정식을 산정하였으며, 추정식을 검증하기 위해 추정식에 대한 결정계수(r2), p-value 및 정확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조류 세포수를 LISST-HAB를 활용하여 기존의 세포 계수법과 비교하였을 때 신속하고 간편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지점별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더 정확한 값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료수 확보와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algae warning system is a system that is divided into caution, warning, and outbreak according to the degree of algae bloom so that relevant agencies take measures to ensure a stable supply of tap water when algae blooms occur. Major rivers and lakes used as water sources among rivers and lakes has been introduced since 1998. The algae warning system, which is being implemented for domestic water sources, is a system that informs water management organizations of the current status of algae to induce responses and measures, and requires prompt and accurate algae counting. Therefore, alga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Marigyo of the Nakdong River in the summer, when the cyanobacteria subject to the algae warning system are overgrowth, and the number of algae cells using the phytoplankton-microscopic counting method according to the water pollution process test standard and the Sedgwick-Rafter chamber lattice counting method. was inspecte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was derived and estimation equation was calculated using Python through the Phycycyanin concentration result value of LISST-HAB, an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p-value, and accuracy of the estimation equation were shown to verify the estimation eq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quick and simple compared to the existing cell counting method using LISST-HAB.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branch are different in the future, it is believed that it is necessary to secure a large number of samples and conduct continuous research to derive a more accurate value.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5-5025 2383-7810 |
DOI: | 10.4491/KSEE.2022.44.12.5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