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과 지역의 새로운 관계맺음 - ‘일본유산(Japan Heritage)’ 사례를 중심으로
이 연구는 문화유산과 지역의 관계에 주목하며 문화유산에 의한 활용의 가능성에 대해 고민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문화유산 정책은 문화유산의 보호와 보존이라는 측면에서 활용의 측면은 다소 소극적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최근 문화유산의 적극적인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문화자원으로서 문화유산의 가치에 주목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지역과의 관계 속에서 문화유산의 역할을 좀 더 적극적인 매개로서 활용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이를 국가사업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2015년...
Saved in:
Published in | 문화콘텐츠연구 no. 25; pp. 73 - 104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01.08.2022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7-2256 2671-7026 |
DOI | 10.34227/tjocc.2022..25.73 |
Cover
Summary: | 이 연구는 문화유산과 지역의 관계에 주목하며 문화유산에 의한 활용의 가능성에 대해 고민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문화유산 정책은 문화유산의 보호와 보존이라는 측면에서 활용의 측면은 다소 소극적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최근 문화유산의 적극적인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문화자원으로서 문화유산의 가치에 주목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지역과의 관계 속에서 문화유산의 역할을 좀 더 적극적인 매개로서 활용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이를 국가사업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2015년부터 일본에서 진행되고 있는 ‘일본유산(Japan Heritage)’ 사업이 그것이다. ‘일본유산’은일본 문화청(文化庁)의 주관으로 문화재나 전통문화를 통한 지역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지정하고 있는 문화유산과 지역을 연계한 인증사업이다. 이 사업은 지역이 가진 역사․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 세대를 초월하는 지속성을 가진 이야기(story)들을 엮어 유형․ 무형의 문화재를 패키지화하여 활용하며, 이 과정에서 지역의 정보발신, 인재육성과 전승, 환경 정비와 같은 실질적인 효과들을 추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20년 개최될 예정이었던 도쿄올림픽을 기준으로 2020년까지 일본 내100곳의 ‘일본유산’을 인증하는 것으로 목표로 사업이 시행되었다. 2022년 현재는사업의 6년차로 애초의 목표를 달성하고, 이에 대한 성과와 방향성을 점검하는 시점에 놓여있다.
이 연구는 일본에서 해당사업을 구상하고 시행하게 된 배경과 목적, 전개과정 등에서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며 새로운 형태의 문화유산 정책의 방향과 그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했다. 특히, 문화유산이 놓여진 공간으로서의 지역이 아닌, 활용의 주체로서 지역의 관점에서 문화유산을 어떻게 이용하고 활용할 것인가의 문제에 주목하여 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일본 사가현․ 나가사키현이 협력하여구성한 일본유산 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그 논의를 진행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heritage and theregion and considers the possibility of use by cultural heritage. Existingcultural heritage policies were concentrated in terms of protection and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Therefore, the aspect of utilization progressedsomewhat passively. However, in recent years, interest in the active use ofcultural heritage has been increasing. And they are paying attention to thevalue of cultural heritage as a cultural resource. In particular, efforts arebeing made to use the role of cultural heritage as a more active medium inrelations with the region.
In Japan, this is being approached more actively as a national project.
This is the “Japan Heritage” project that has been underway since 2015.
“Japan Heritage” is a certification project that has been designated by theAgency for Cultural Affairs of Japan for the purpose of revitalizing theregion through cultural assets or traditional culture. he project aims topackage and utilize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assets by weaving storiesthat transcend generations based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of the region, and to promote practical effects such as local informationtransmission, talent development and transmission, and environmentalmaintenance. Based on the Tokyo Olympics, which was scheduled to be held in 2020, the project was implemented with the goal of certifying 100“Japan Heritage Sites” in Japan by 2020.
This study specifically examined the background, purpose, and developmentprocess of conceiving and implementing the project in Japan. Through this,I tried to explore the direction and possibility of a new type of culturalheritage policy. In particular, this was examined by paying attention to thequestion of how to use and utilize cultural heritage from the perspective ofthe region as a subject of utilization, not as a space where cultural heritageis placed. To this end, the discussion was conducted by investigating andanalyzing the cases of Japanese heritage formed by Saga Prefecture andNagasaki Prefecture. KCI Citation Count: 1 |
---|---|
ISSN: | 2287-2256 2671-7026 |
DOI: | 10.34227/tjocc.2022..25.7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