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기 전략에 따른 다운증후군 아동과 일반 아동의 어휘 습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책읽기 전략(직접적 질문하기, 간접적 질문하기, 진술하기) 별 다운증후군 아동과 일반 아동 집단 간 수용 및 표현어휘 학습의 수행력을 알아봄으로써 다운증후군 아동과 일반 아동의 어휘 학습을 위한 효과적인 책읽기 전략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방법: 다운증후군 아동 10명, 일반 아동 11명을 세 가지 책읽기 전략(직접적 질문하기, 간접적 질문하기, 진술하기) 중 하나의 전략에 무선배치 하였다. 각 전략에 배치된 모든 아동은 총 10회기의 책읽기를 통해 8개의 목표어휘에 노출되었으며 매 회기마다 수용...
Saved in:
Published in | 언어치료연구 Vol. 31; no. 4; pp. 57 - 68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언어치료학회
01.10.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587X 2671-7158 |
DOI | 10.15724/jslhd.2022.31.4.057 |
Cover
Summary: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책읽기 전략(직접적 질문하기, 간접적 질문하기, 진술하기) 별 다운증후군 아동과 일반 아동 집단 간 수용 및 표현어휘 학습의 수행력을 알아봄으로써 다운증후군 아동과 일반 아동의 어휘 학습을 위한 효과적인 책읽기 전략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방법: 다운증후군 아동 10명, 일반 아동 11명을 세 가지 책읽기 전략(직접적 질문하기, 간접적 질문하기, 진술하기) 중 하나의 전략에 무선배치 하였다. 각 전략에 배치된 모든 아동은 총 10회기의 책읽기를 통해 8개의 목표어휘에 노출되었으며 매 회기마다 수용 및 표현어휘 평가 점수를 측정하였다.
결과: 첫째, 수용어휘 학습 수행력에서는 진술하기 전략에서만 다운증후군 아동 집단과 일반 아동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으며 직접적 질문하기, 간접적 질문하기 전략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진술하기 전략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난 것은 일반 아동 집단이 다운증후군 아동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획득한 것을 의미한다. 둘째, 표현어휘 학습 수행력에서는 세 가지 전략인 직접적 질문하기, 간접적 질문하기, 진술하기에서 모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다운증후군 아동 집단과 일반 아동 집단의 수행력 점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다운증후군 아동 집단과 일반 아동 집단 모두 수용 및 표현어휘 학습 수행력에 있어 직접적 질문하기 전략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결론: 위와 같은 결과는 수용어휘 학습에 있어 아동의 집중을 더 요구하는 진술하기 전략보다 아동이 목표어휘에 집중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질문하기 전략이 어휘 학습에 보다 효과적인 방법임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ults of vocabulary learning through three reading strategies (eliciting questions, non-eliciting questions, and comment) and to present effective reading strategies for vocabulary learning in Down syndrome and typically developed children.
Methods: Ten children with Down syndrome and 11 ordinary children were randomly placed in one of three reading strategies (eliciting questions, non-eliciting questions, and comment). All children were exposed to eight target vocabulary words through a total of 10 sessions of reading; the scores for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evaluation were measured during each session.
Results: First, in the performance of acceptable vocabulary learning, the only difference between the Down syndrome children’s group and the typically developed children’s group was in the comment strategy.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statement strategy means that the typically developed children’s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Down syndrome children’s group. Second, in the performance of expressive vocabulary learn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all three strategies: eliciting question, non-eliciting question, and comment. In addition, although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oth the Down syndrome children’s group and the typically children’s group scored the highest in the eliciting question strategy in terms of performance in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learning.
Conclusions: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a question strategy that induces children to focus on target vocabulary is a more effective method for vocabulary learning than a comment strategy.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jslhd.org/ |
ISSN: | 1226-587X 2671-7158 |
DOI: | 10.15724/jslhd.2022.31.4.05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