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감형 문화유산 콘텐츠 및 기술 동향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실감형 문화유산 기술 현황에 대한 이해 및 시사점을 도출, 수요자 중심의 정책과 중장기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데 용이하게 하고자 하며, 문헌 연구를 통해 실감형 기술 및 콘텐츠 사례를 고찰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일반인, 개발자, 학예사 집단의실감형 콘텐츠에 대한 시각을 조명하였다. 설문 참여자의 과반수가 실감콘텐츠에 대해 만족했으며, 문화유산에 대한 재해석과 스토리텔링이 주요 만족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회귀 모형을 통해 개발자 집단에서만 만족 요인과 만족도에 대한 적합성이 입증되었다. 향후 개발될 실감콘텐츠 대상에 대한 적...
Saved in:
Published in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4; no. 10; pp. 2391 - 2408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10.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23.24.10.2391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실감형 문화유산 기술 현황에 대한 이해 및 시사점을 도출, 수요자 중심의 정책과 중장기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데 용이하게 하고자 하며, 문헌 연구를 통해 실감형 기술 및 콘텐츠 사례를 고찰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일반인, 개발자, 학예사 집단의실감형 콘텐츠에 대한 시각을 조명하였다. 설문 참여자의 과반수가 실감콘텐츠에 대해 만족했으며, 문화유산에 대한 재해석과 스토리텔링이 주요 만족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회귀 모형을 통해 개발자 집단에서만 만족 요인과 만족도에 대한 적합성이 입증되었다. 향후 개발될 실감콘텐츠 대상에 대한 적합성 측정에서 데이터 추출과 디지털 복원이 가능한 훼손 문화재에 대한 적합성이 가장 높은 비율을 획득했다. 실감콘텐츠 사업 평가의 경우, 전문가 집단의 사용성 평가에 대한 이해와 역량은 비교적 낮은 수준에 머물렀고, 평가 항목에서 두 집단간 시각적 편차가 제시되었다. This study facilitates the understanding current states of immersive cultural heritage technologies, drawing implications anddeveloping demand-oriented policies and mid-to long-term response strategies. It examines case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survey sheds light on the perspectives of the public, content developers and curators for digital heritage. The majority of thesurvey participants are satisfied with the content, and enjoyment created by reinterpretation and storytelling of heritage are identified as the major satisfaction factor. The suitability of satisfaction factors and satisfaction is proved only in the developergroup using the regression model. The suitability for damaged cultural heritage, capable of data extraction and digital restoration,acquires the highest ratio for future content. As for evaluating immersive content projects, the expert groups’ understanding andcompetencies for usability test remains at a relatively low level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perspective between two groups interms of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criteria. KCI Citation Count: 6 |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23.24.10.239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