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브루타 교수-학습법에 의한 의사소통능력의 구조모형분석
본 연구는 하브루타 교수-학습법을 대학생들의 전공 수업에 적용하여 의사소통 능력의 효과성평가와 하위요인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의사소통 능력 점수는 하브루타 교수-학습 전·후에 따라 달라졌으며 하브루타 교수-학습 전보다 하브루타 교수-학습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 효과는 직접 효과에서 해석 능력과 역할수행 능력의 목표설정능력 간의 관계를 제외한 잠재 변수들 간의 총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에서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하브루타 교수-학습 방법은 창의력과 사고력을 향상시킬 뿐만...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Vol. 28; no. 10; pp. 197 - 205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01.10.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49X 2383-9945 |
DOI | 10.9708/jksci.2023.28.10.197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하브루타 교수-학습법을 대학생들의 전공 수업에 적용하여 의사소통 능력의 효과성평가와 하위요인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의사소통 능력 점수는 하브루타 교수-학습 전·후에 따라 달라졌으며 하브루타 교수-학습 전보다 하브루타 교수-학습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 효과는 직접 효과에서 해석 능력과 역할수행 능력의 목표설정능력 간의 관계를 제외한 잠재 변수들 간의 총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에서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하브루타 교수-학습 방법은 창의력과 사고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또한 사회성 발달과 의사소통 능력은물론 자신과 다른 의견들을 경험해보면서 문제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교수-학습법이라는 것을재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호모마키나 시대에 걸맞은 철저한 학생중심 교수-학습법의 연구는 지속되어야 하고 교육현장에서의 적용이 반드시 실행되어야 될 것이다. This study is to apply the Havruta teaching-learning method to college students' major classes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iveness evaluation of communication skills and sub-factor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mmunication ability score was different before and after Havruta teaching-learning, and it was found that after Havruta teaching-learning was higher than before Havruta teaching-learning. The path effec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all of the total,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mong latent variables, excep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retation ability, role-playing ability, and goal-setting ability in the direct effect.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Havruta teaching-learning method not only improves creativity and thinking ability, but also improve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addition, it was reconfirmed that it is a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can develop social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as well as problem-solving skills while experiencing opinions different from one's own. As a result, research on a thorough student-centered teaching-learning method suitable for the Homo Machina era must be continued and its applic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must be implemented.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598-849X 2383-9945 |
DOI: | 10.9708/jksci.2023.28.10.1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