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고용가능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 취업실패경험의 조절효과

본 연구는 경기침체로 인한 일자리 감소와 고용 불안정성 증가 속에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고용가능성과 창업의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대학생들의 고용가능성과 창업의도의 관계를 확인하고, 기업가정신이 이를 매개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취업실패경험의 조절효과를 통하여 실제로 대학생들은 고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취업의 대체물 또는 취업의 또 다른 스펙으로 창업을 인식할 가능성이 있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전국에 있는 대학생 3, 4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최종적으로 318명 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경영학회지 Vol. 37; no. 6; pp. 977 - 1003
Main Authors 송규희(Kyu-Hee Song), 양동우(Dong-Woo Y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경영학회 01.06.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234
2465-8839
DOI10.18032/kaaba.2024.37.6.97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경기침체로 인한 일자리 감소와 고용 불안정성 증가 속에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고용가능성과 창업의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대학생들의 고용가능성과 창업의도의 관계를 확인하고, 기업가정신이 이를 매개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취업실패경험의 조절효과를 통하여 실제로 대학생들은 고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취업의 대체물 또는 취업의 또 다른 스펙으로 창업을 인식할 가능성이 있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전국에 있는 대학생 3, 4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최종적으로 318명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을 통해 실증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대학생 고용가능성의 하위 변수 중 지식과 태도가 기업가정신의 핵심 요소인 혁신성과 위험감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가정신의 하위 변수인 혁신성과 위험감수성은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고용가능성의 하위 변수 중 지식은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태도는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태도와 창업의도의 관계에서 혁신성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취업실패경험에 따른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고용가능성 연구의 대부분이 취업과 구직활동에 초점을 맞춘 기존의 선행연구와는 달리 고용가능성이 대학생의 창업의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고용가능성 개념이 취업뿐만 아니라 창업 분야로까지 확장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취업실패경험이 대학생의 창업의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취업 실패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요인들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대학생들의 고용가능성 제고와 창업 활성화를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employability and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 particularly amidst job reductions and increased job instability. We explore whether entrepreneurship mediates this relationship and whether employment failure experiences moderate the perception of entrepreneurship as an alternative or additional qualification to enhance employability. A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among 318 junior and senior university student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 positively influence entrepreneurial spirit, specifically innovativeness and risk-taking propensity. Second, innovativeness and risk-taking propensity have a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rd, knowledge positively affects entrepreneurial intention, while attitude has a negative impact. Fourth, innovativenes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Finally, the moderating effect of employment failure experiences is confirmed. The study’s implications highlight the need to expand the concept of employability beyond traditional employment and consider entrepreneurship as a viable path. Additionally, understanding how employment failure experiences shape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can inform practical strategies for enhancing employability and promoting entrepreneur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KCI Citation Count: 0
ISSN:1226-2234
2465-8839
DOI:10.18032/kaaba.2024.37.6.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