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를 활용한 코로나19 팬데믹의 자살에 대한 영향 분석

본 연구는 전대미문의 집단감염병인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며 인간이 느끼는 불안과 생활고, 사회구조의 변화로 인한 정신건강의 악화가 자살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로 시작되었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코로나19 국내 첫 확진자가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전후 3년간 ‘자살’에 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수집하여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밝힌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감염병 상황에서는 고립감과 우울감으로 인해 자살을 고민하는 이들에게 촘촘한 자살예방 전화상담 서비스를 강화하고, 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4; no. 11; pp. 2811 - 2818
Main Authors 구창민(Chang-Min Gu), 강희조(Heau-Jo K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11.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23.24.11.281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전대미문의 집단감염병인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며 인간이 느끼는 불안과 생활고, 사회구조의 변화로 인한 정신건강의 악화가 자살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로 시작되었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코로나19 국내 첫 확진자가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전후 3년간 ‘자살’에 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수집하여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밝힌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감염병 상황에서는 고립감과 우울감으로 인해 자살을 고민하는 이들에게 촘촘한 자살예방 전화상담 서비스를 강화하고, 자살예방을 위한 전담 기관의 운영을 확대해야 한다. 둘째, 집단감염병 장기화는 노년기 노인 우울증과 청소년 정신건강에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들을 정신건강 취약계층으로 인식하여 관리해야 한다. 셋째, 정부의 초기대응 실패, 마스크 대란, 가짜뉴스의 확산 등의 실패 경험을 바탕으로 국가위기관리체계를 점검하고 이와 같은 감염병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정부의 대비책이 필요하다. 넷째, 코로나19를 계기로 발전된 공공보건의료서비스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투자를 연결해 효과적인 대응체계를 갖추어 나가야 한다. 본 연구는 향후 발생하는 감염병 대유행 시 갑작스럽게 찾아오는 우울감으로 인한 자살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We hypothesized that the deterioration of mental health caused by human anxiety, difficulties in life, and changes in social structur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 unprecedented group infection, will affect suicide. Text mining analysis was conducted by collecting text data on “suicide” for three years before and after the first confirmed case of COVID-19 in Korea. The study deriv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n the situation of a group infectious disease, close suicide prevention telephone counseling services should be strengthened for those who are concerned about suicide owing to isolation and depression, and the operation of dedicated organizations for suicide prevention should be expanded. Second, prolonged group infectious diseas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for senior depression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and they should be recognized and managed as vulnerable to mental health. Third,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national crisis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government’s experience of failure in initial response, mask crisis, and the spread of fake news and to quickly and accurately prepare the government for such infectious diseases. Fourth, based on public health care services developed in the wake of COVID-19,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ffective response system by connecting continuous investment.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olicy development to prevent suicide owing to sudden depression in the event of an infectious disease pandemic in the future. KCI Citation Count: 2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23.24.11.2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