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소설에서의 회귀·환생 모티브 활용 연구 - Vogler의 서사구조를 중심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해 한 편에 5~10분 만에 읽을 수 있는 내용을 매일 연재하는 웹소설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소설 등장 이후 회귀나 환생 모티브로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소설이 자주 등장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을 해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25편 안팎의 회차를 무료로 제공하여 고정 독자를 끌어 들이려 시도하는 장편 웹소설의 일반적인 판매․마케팅 관행에 주목했다. 이 모티브의 인기를 두고 기존 연구는 주로,불공정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청년층의 심리 기제 등과 같은 사회심리적 요인으로 해석하려 시도한 것과 달리, 본 연구는 새로운 형태의 웹...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문화콘텐츠연구 no. 25; pp. 39 - 72
Main Authors 음성원(Eum, Sungwon), 장웅조(Chang, WoongJ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01.08.2022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7-2256
2671-7026
DOI10.34227/tjocc.2022..25.3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스마트폰을 이용해 한 편에 5~10분 만에 읽을 수 있는 내용을 매일 연재하는 웹소설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소설 등장 이후 회귀나 환생 모티브로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소설이 자주 등장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을 해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25편 안팎의 회차를 무료로 제공하여 고정 독자를 끌어 들이려 시도하는 장편 웹소설의 일반적인 판매․마케팅 관행에 주목했다. 이 모티브의 인기를 두고 기존 연구는 주로,불공정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청년층의 심리 기제 등과 같은 사회심리적 요인으로 해석하려 시도한 것과 달리, 본 연구는 새로운 형태의 웹소설이 가지고 있는 형식적 특징에서 원인을 찾으려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회귀나 환생 모티브를 가진 웹소설4편을 선정하여 무료 회차 안에 어떤 내용을 담았는지 분석해 보았다. 이 분석은 시나리오 작성을 위해 Christopher Vogler가 개발한 3막의 서사구조 분석틀을 적용해이뤄졌다. 분석 결과, 선정된 웹소설은 3막의 서사구조 중 독자들이 지루해 할 수있는 ‘주인공의 길로 진입’해 ‘주인공으로 변모’하는 1~2막에 해당하는 부분을 빠르게 건너뛸 수 있게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더해 ‘주인공으로서 귀환’해 막강한 능력을 가지고 사건을 해결하는 3막에 해당하는 부분까지도 25편의 무료 회차 안에 포함해 독자들이 카타르시스를 일부 맛볼 수 있도록 이야기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이들 웹소설은 무료 회차 이후 등장하게될 본격적인 카타르시스를 기대하게 만들어 자연스럽게 유료 결재를 유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회귀나 환생 모티브는 웹소설이라는 새로운 형식의 소설을판매함에 있어서 독자에게 맛보기로 제공하는 내용 안에 카타르시스를 얻을 수 있게끔 도와주는 도구로 활용되고 있었으며, 이는 웹소설의 판매수익을 극대화하는유용한 수단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After the advent of web novel which is a new type of novel that can beread in 5-10 minutes for one episode through the smart phone, novels thathave motifs of return-to-the-past or reincarnation appear more frequently. Inorder to explain this trend, we examined the sales and marketing practicesproviding readers with about 25 episodes free of charge that are commonlyfound in many web novels.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reason of using themotifs by check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web novel, while theexisting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the socio-psychological factors suchas psychological mechanisms of younger generations to overcome the unfairness. For this end, we selected four web novels that have the return-to-the-past orreincarnation motifs and tried to find which stories are included in the freeepisodes. For the analysis, we applied the three-stage story frameworkdeveloped by Christopher Vogler.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selectedweb novels allowed readers to quickly skip the stories that can be classifiedin the Stage 1 (entering the hero’s path) and Stage 2 (transforming into thehero) that can make readers feel frustrated and impatient. In addition to this,the selected web novels included the stories that can be classified in theStage 3 (returning as the hero and clearing up a mission with the powerful ability) for readers to experience some catharsis in the 25 free episodes. Through this, the web novels attracts readers to pay for the next episodes bymaking them to anticipate a full-scale catharsis. In other words, we foundthat the web novels that have return-to-the-past or reincarnation motifs areused as a tool that make the stories possible to quickly provide readers withthe catharsis in the free episodes and used as a useful mean to maximize thesales revenue. KCI Citation Count: 0
ISSN:2287-2256
2671-7026
DOI:10.34227/tjocc.2022..25.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