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자세조절능력 평가도구 양호도 검증: 누운자세에서 일어 서기와 장애물 걷기

본 연구는 일상생활 활동을 하면서 겪는 낙상과 관련된 이동운동과제인 누운자세에서 일어서기와 장애물걷기 과제로 구성하여 개발된 ‘노인 자세조절능력 평가도구’의 양호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65세 여성 노인 145명을 대상으로 분류 일치도, 분류 정확도, 준거타당도 그리고 평가 점수 기준의 적절성을알아보았다. 첫째, 분류 일치도 895∼.964로 반복 평가에 대한 신뢰도가 검증되었으며, 분류 정확도 .672∼.700로평가 분류에 대한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둘째, 준거검사로 측정한 낙상위험도 점수와 개발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 25; no. 3; pp. 59 - 72
Main Authors 신진이(Jhin-Yi SHIN), 홍성봉(Seong Bong H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01.09.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4225
2671-9134
DOI10.21797/ksme.2023.25.3.00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일상생활 활동을 하면서 겪는 낙상과 관련된 이동운동과제인 누운자세에서 일어서기와 장애물걷기 과제로 구성하여 개발된 ‘노인 자세조절능력 평가도구’의 양호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65세 여성 노인 145명을 대상으로 분류 일치도, 분류 정확도, 준거타당도 그리고 평가 점수 기준의 적절성을알아보았다. 첫째, 분류 일치도 895∼.964로 반복 평가에 대한 신뢰도가 검증되었으며, 분류 정확도 .672∼.700로평가 분류에 대한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둘째, 준거검사로 측정한 낙상위험도 점수와 개발한 평가도구 점수 간의상관이∣.792∼.866∣로 높은 준거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셋째, ROC 곡선 분석을 실시하여 개발된 평가도구의 자세조절능력 평가 점수 기준에 대한 적절성을 확인한 결과, 누운자세에서 일어서기(AUC=.937, p=.001), 장애물 걷기(AUC=.852, p=.001) 모두 평가 점수 기준에 대한 적절성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자세조절능력 평가도구는 노인들의 자세조절능력을 평가하여 낙상을 예측할 수 있는 객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며, 노인들의 대상으로 다양한 연구변인들과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Elderly Postural Control Assessment Tool’,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daily life activities related to falls, specifically focusing on tasks like getting up from a lying position and walking with obstacles. To achieve this goal, we examined the classification agreement, classification accuracy, criterion validity, and appropriateness of the scoring criteria among 145 elderly women aged 65 and above. Firstly, the classification agreement ranged from 0.895 to 0.964, confirming the reliability of the repeated evaluations. Secondly, the classification accuracy was between 0.672 and 0.700,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classification. Thirdly, a high criterion validity was confirmed with correlations ranging from |0.792 to 0.866| between the fall risk scores measured by the criterion test and the scores from the developed assessment tool. Lastly, the ROC curve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appropriateness of the scoring criteria for the developed assessment tool. Both tasks, getting up from a lying position (AUC=0.937, p=0.001) and walking with obstacles (AUC=0.852, p=0.001), confirm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scoring criteria. The Postural Control Assessment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objective information to predict falls in the elderly and can be utilized in conjunction with various research variables targeting the elderly population. KCI Citation Count: 0
ISSN:1229-4225
2671-9134
DOI:10.21797/ksme.2023.25.3.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