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생성형 AI 도구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 및 행동 의도 효과 분석을 위한 Stable Diffusion 활용
본 연구는 생성형 AI 교육에서 학습자의 인지된 유용성이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AI 이미지 생성 도구에 대한 사용 만족도의 매개 효과와 행동 의도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C 대학교 컴퓨터 공학 전공 대학생 31명으로, Stable Diffusion Web UI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 후 설문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생성형 AI 도구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은 Stable Diffusion에 대한 만족도를 매개로 자기 효능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 관계는 행동 의도가 낮은...
Saved in:
| Published in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 28; no. 10; pp. 1232 - 1237 |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정보통신학회
01.10.2024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2234-4772 2288-4165 |
| DOI | 10.6109/jkiice.2024.28.10.1232 |
Cover
| Summary: | 본 연구는 생성형 AI 교육에서 학습자의 인지된 유용성이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AI 이미지 생성 도구에 대한 사용 만족도의 매개 효과와 행동 의도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C 대학교 컴퓨터 공학 전공 대학생 31명으로, Stable Diffusion Web UI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 후 설문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생성형 AI 도구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은 Stable Diffusion에 대한 만족도를 매개로 자기 효능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 관계는 행동 의도가 낮은 학습자에서 더욱 강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생성형 AI 교육이 학습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효과적인 AI 교육 방법 개발을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learners' perceived usefulness on self-efficacy in a generative AI educational environment. It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ers' behavioral intentions,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with the AI image generation tool on this relationship. The study subjects were 31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mputer science at C University,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after conducting a generative AI educational program using the Stable Diffusion Web UI. Medi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analyses revealed that learners' perceived usefulness of generative AI tools has an indirect effect on self-efficacy via user satisfaction with Stable Diffusion and that this relationship is strengthened in the group of learners with low behavioral intention. These results suggest a multidimensional impact of generative AI training on learning outcomes, and by empirically investigating thi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developing effective AI training methods. KCI Citation Count: 0 |
|---|---|
| Bibliography: | http://jkiice.org |
| ISSN: | 2234-4772 2288-4165 |
| DOI: | 10.6109/jkiice.2024.28.10.12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