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용 에이전트의 역할과 설계원리 탐색: 2D, 3D 학습환경을 중심으로

교육용 에이전트는 동기 부여와 학습 성과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부적절한 설계는 주의를 분산시키고 불필요한 인지 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교육용 에이전트 도입 현황을 탐색하고 적용된 설계 원리를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PACU(pedagogical agents-conditions of use model)’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2D·3D 학습환경에서의 교육용 에이전트 설계 및 적용 현황을 탐색하였다. 2018년~ 2022년 발표된 영문 논문 중 교육용 에이전트 관련 논문 49건을 학습환경, 역할...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5; no. 8; pp. 2091 - 2101
Main Authors 이경민(Kyung-Min Lee), 최재연(Jae-Yeon Choe), 손지현(Ji-Hyun Son), 김민영(Min-Young Kim), 신윤희(Yoon-Hee Sh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08.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24.25.8.209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교육용 에이전트는 동기 부여와 학습 성과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부적절한 설계는 주의를 분산시키고 불필요한 인지 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교육용 에이전트 도입 현황을 탐색하고 적용된 설계 원리를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PACU(pedagogical agents-conditions of use model)’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2D·3D 학습환경에서의 교육용 에이전트 설계 및 적용 현황을 탐색하였다. 2018년~ 2022년 발표된 영문 논문 중 교육용 에이전트 관련 논문 49건을 학습환경, 역할 단서, 외적 단서, 사회적 단서의 4가지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연구(44건)는 2D 학습환경 기반이었으며, 3D 학습환경에 대한 연구(5건)는 상대적으로 부족함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용 에이전트의 설계원리를 학습환경과 구현방법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세분화 된 교육용 에이전트 설계연구에 대한 필요성의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Educational agents can positively influence learners’ motivation and performance, but poor design may cause distractions and cognitive overload. Therefore, exploring the implementation and design principles of educational agents is crucial. This study used the PACU framework to investigate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educational agents in 2D and 3D learning environments. We analyzed 49 English-language scholarly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18 and 2022 based on learning environment and role, appearance, and social cues. Most studies (44) focused on 2D environments, whereas research (5) on 3D environments is limited. We expect to provide evidence of the need for detailed pedagogical agent design research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esign principles of pedagogical agents according to learning environments and design methods. KCI Citation Count: 0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24.25.8.2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