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대 잎 첨가에 의한 백삼 추출물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백삼의 소비증대를 위하여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진 잔대 잎을 백삼 대비 0, 1.0, 2.5, 5.0, 7.5 및 10.0% 첨가 혼합 추출하여 그 추출액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백삼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0.67 ±0.11 mg・GAE/mL 및 1.16±0.08 mg・QE/100 mL였고 잔대 잎 추출물에서는 10.22±0.24 mg・GAE/mL 및 145.67 ±8.17 mg・QE/100 mL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잔대 잎을 2.5%만 첨가하여 추출한 백삼 추출물에서 IC50...
Saved in:
Published in | 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51; no. 12; pp. 1296 - 1303 |
---|---|
Main Authors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01.12.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3311 2288-5978 |
DOI | 10.3746/jkfn.2022.51.12.1296 |
Cover
Summary: | 백삼의 소비증대를 위하여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진 잔대 잎을 백삼 대비 0, 1.0, 2.5, 5.0, 7.5 및 10.0% 첨가 혼합 추출하여 그 추출액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백삼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0.67 ±0.11 mg・GAE/mL 및 1.16±0.08 mg・QE/100 mL였고 잔대 잎 추출물에서는 10.22±0.24 mg・GAE/mL 및 145.67 ±8.17 mg・QE/100 mL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잔대 잎을 2.5%만 첨가하여 추출한 백삼 추출물에서 IC50의 소거능에 필요한 추출액량이 189.48±1.74 μL/mL로,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잔대 잎을 5%만 첨가한 추출물에서 IC50의 소거능에 필요한 추출액량이 71.01±2.97 μL/mL로 백삼만의 추출액의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IC50(429.61± 2.82 μL/mL 및 152.75±11.71 μL/mL) 필요량보다 2배 이상 상승효과를 주었다. 잔대 잎을 5∼10% 첨가한 추출물에서 총 진세노사이드와 β-carotene은 1.00∼1.06 mg/mL 및 0.64∼1.26 μg/mL의 함량을 보였으며, 백삼에 잔대 잎 첨가량에 따른 백삼 추출물에서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에 대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따라서 잔대 잎 첨가에 의한 백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향상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한 새로운 백삼 제품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o increase the consumption of white ginseng (WG), we evaluated the bioactive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s obtained after supplementation with 0, 1.0, 2.5, 5.0, 7.5, and 10.0%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Hara leaf (ATL). The total polyphenol (TP) and total flavonoid (TF) contents of white ginseng extracted without ATL (WA1) were 0.67±0.11 mg・GAE/mL and 1.16±0.08 mg・QE/100 mL, respectively, and the TP and TF content of the ATL extract were 10.22±0.24 mg・GAE/mL and 145.67±8.17 mg・QE/100 mL, respectively. The 50% inhibition concentration (IC50) of DPPH was determined to be 189.48±1.74 μL/mL in the WA3 extract (2.5% ATL), whereas the IC50 obtained with ABTS was 71.01±2.97 μL/mL in the WA4 extract (5.0% ATL), imparting a synergistic effect more than twice exerted by WA1. The total ginsenoside and β-carotene contents were determined to be in the range 1.00∼1.06 mg/mL and 0.64∼1.26 μg/mL, respectively, in the WA4∼WA6 extracts (supplemented with 5∼10% ATL).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total ginsenoside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found to be highly correlated with WG extract supplemented with 5∼10% ATL. Taken together, our results indicate a potential to develop a beneficial new WG extract supplemented with ATL. KCI Citation Count: 2 |
---|---|
ISSN: | 1226-3311 2288-5978 |
DOI: | 10.3746/jkfn.2022.51.12.129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