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지특이적 토양생태위해성평가를 위한 생태위해지수 산정기법 비교연구

목적: 토양환경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의 위해성은 토양의 특성과 기능, 그리고 환경조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부지특이적 특성을 반영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국제표준안 및 국외 생태위해성평가 지침에서는 자국 실정에 적합한 위해성평가 기법을 통하여 부지특이적 토양생태위해성평가를 수행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부지특이적 생태위해성평가 제도 도입 기반이 부족한 실정이므로 국내 실정에 맞는 생태위해성평가 기법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부지특이적 생태위해성을 반영할 수 있는 인자를 스크리닝하여 국내형 생태위해성...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ehan hwan'gyeong gonghag hoeji Vol. 44; no. 11; pp. 426 - 435
Main Authors 김도경(Dokyung Kim), 곽진일(Jin Il Kwak), 최영설(Rongxue Cui), 김리아(Lia Kim), 이태양(Tae Yang Lee), 김해미(Haemi Kim), 안윤주(Youn-Joo A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환경공학회 01.11.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5025
2383-7810
DOI10.4491/KSEE.2022.44.11.42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토양환경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의 위해성은 토양의 특성과 기능, 그리고 환경조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부지특이적 특성을 반영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국제표준안 및 국외 생태위해성평가 지침에서는 자국 실정에 적합한 위해성평가 기법을 통하여 부지특이적 토양생태위해성평가를 수행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부지특이적 생태위해성평가 제도 도입 기반이 부족한 실정이므로 국내 실정에 맞는 생태위해성평가 기법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부지특이적 생태위해성을 반영할 수 있는 인자를 스크리닝하여 국내형 생태위해성평가 기법 개발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방법: 기존 문헌에서 제안 및 활용된 생태위해지수를 분석하고 각 인자에 대한 산정 방법을 설명하였다. 조사된 생태위해지수는 화학적 평가, 독성학적 평가, 그리고 통합적 평가를 기반으로 한 인자로 분류되었다. 결과 및 토의: 화학적 평가 기반 인자의 경우 신속한 오염도 산정이 가능하나 토양특성을 반영하기 어렵고 생태수용체와의 연관성을 나타낼 수 없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독성학적 평가 기반 인자는 생태수용체에 대한 영향을 바탕으로 위해도를 산정할 수 있으나 현장 내에서 실험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대상부지의 환경조건 등을 재현하기 어렵다는 제한점이 있다. 통합적 평가 기반 인자는 화학적 평가, 독성학적 평가와 함께 대상부지에 대한 생태학적 평가를 수행하여 오염도를 정량화하고 생태수용체의 취약성, 부지특이성 등을 반영함으로써 생태위해도를 나타낸다. 결론: 국내형 부지특이적 생태위해성평가 기법은 현장 토양의 오염도와 함께 생태수용체 및 생태학적 특성 등을 포괄하는 통합적 평가기반 위해지수를 기반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Objectives: Since the risk of pollutants in soil environment may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function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soil, the site-specific soil ecological risk assessment (SERA) should be conducted to protect soil ecosystem from pollutants. It has been confirmed that each country is conducting SERAs based on site-specific guidelines suitable for their own conditions. However, in Korea, there is a lack of basis for introducing SERA,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echniques for SERA which is suitable for domestic soil conditions is required.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propose the direction of domestic guideline for SERA.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ecological risk indices for SERA. The factors were classified the ecological risk indices based on chemical, toxicological, and integrated evaluations. Results and Discussion: For the chemical indices, they have limitations that it is difficult to reflect soil characteristics and cannot indicate a relation with ecological receptors, although they can calculate contamination level rapidly. The toxicological indices can calculate the effect of pollutions on ecological receptors. However, there are also limitations that it is difficult to reproduce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target site. While, the integrated indices require the ecological assessment along with chemical, toxicological analysis. They are found to quantify complex contaminations with reflecting site-specific characteristics of soils and ecological receptors. Conclusions: The techniques for domestic site-specific SERA should be based on the indices for integrated assessment. KCI Citation Count: 0
ISSN:1225-5025
2383-7810
DOI:10.4491/KSEE.2022.44.11.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