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 기반 브랜드 점포의 지역성 연구 - Aesop의 입지특성 및 공간 디자인을 중심으로

현대 글로벌 시장에서 브랜드 현지화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점포 공간 디자인에도 지역성을 반영하는 것이 필요해졌다. 이에 본 연구는 브랜드 점포의 입지특성 및 공간 디자인을 지역성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브랜드 현지화 전략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 대상으로는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현지화 전략을 취하고 있는 브랜드 Aesop의 런던 내 22곳의 시그니처 스토어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성을 사회·문화적, 역사적, 환경적 차원으로 세분화하여 각 차원에서 점포 공간 디자인에 적용된 지역성 표현 요소를 분석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4(5) Vol. 24; no. 5; pp. 175 - 185
Main Authors 한유진(Yoojin Han), 송지현(Ji-Hyun S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01.05.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4.24.05.17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현대 글로벌 시장에서 브랜드 현지화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점포 공간 디자인에도 지역성을 반영하는 것이 필요해졌다. 이에 본 연구는 브랜드 점포의 입지특성 및 공간 디자인을 지역성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브랜드 현지화 전략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 대상으로는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현지화 전략을 취하고 있는 브랜드 Aesop의 런던 내 22곳의 시그니처 스토어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성을 사회·문화적, 역사적, 환경적 차원으로 세분화하여 각 차원에서 점포 공간 디자인에 적용된 지역성 표현 요소를 분석하였다. 또한, 공간정보를 바탕으로 GIS를 활용하여 점포의 입지적 특성을 분석하고 공간 디자인과의 연계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지역성은 주로 사회·문화적 및 역사적 차원에서 반영되었으며 환경적 차원에서는 활용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매장 공간을 구성하는 구조적 요소와 오브젝트의 재료 및 색상, 형태 등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되었다. 입지특성 또한 환경적 차원 대비 사회·문화적 차원과 역사적 차원이 강조되며, 이는 공간 디자인과 연계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As the importance of brand localization has emphasized in the global market, it has also become necessary to reflect locality in store design.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spatial design of brand stores in terms of the locality, with a specific focus on Aesop's 22 signature stores in London—a brand that has effectively implemented a localization strategy on the global stage. The research approach involves subdividing locality into sociocultural, historical, and environmental dimensions to comprehensively assess the spatial design elements that communicate and embody the essence of the locality. GIS was employed to examine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tores,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the spatial design.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 that the expression of locality is predominantly evident at the sociocultural and historical levels, with limited manifestation at the environmental dimension.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locality is mostly achieved through the structural and objective elements of the stores. Furthermore, the analysis highlights that locational characteristics place a stronger emphasis on the sociocultural and historical dimensions, establishing a meaningful connection with the spatial design, while the environmental dimension exhibits a more constrained influence. KCI Citation Count: 0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4.24.05.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