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골수염으로 오인된 성인 견갑골에 발생한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LCH)은 랑게르한스 세포가 증식하여 여러 장기를 침범하는 비교적 드문 질환이다. LCH는 이환된 장기의 수에 따라 단일 병소 질환(unifocal disease), 단일 계통의 다발 병소 질환(multifocal unisystemic), 여러 계통의 다발 병소 질환(multifocal multisystemic)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두개골, 척추, 골반, 갈비뼈 침범이 50% 이상이며 견갑골 침범은 드물다고 알려져 있다. 소아에서 편평추(vertebr...
Saved in: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58; no. 3; pp. 262 - 266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정형외과학회
01.06.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2102 2005-8918 |
DOI | 10.4055/jkoa.2023.58.3.262 |
Cover
Summary: |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LCH)은 랑게르한스 세포가 증식하여 여러 장기를 침범하는 비교적 드문 질환이다. LCH는 이환된 장기의 수에 따라 단일 병소 질환(unifocal disease), 단일 계통의 다발 병소 질환(multifocal unisystemic), 여러 계통의 다발 병소 질환(multifocal multisystemic)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두개골, 척추, 골반, 갈비뼈 침범이 50% 이상이며 견갑골 침범은 드물다고 알려져 있다. 소아에서 편평추(vertebra plana) 또는 두개골의 단독 골 용해성 병변은LCH를 시사할 수 있지만 다른 부위에 발생한 경우에는 전이성 악성종양 또는 골수염과 감별진단이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LCH가견갑골에 발생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고 증상 발현이 유사하여 국소 열감, 어깨 통증과 운동제한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를 급성 골수염으로 오인하였던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LCH) is a rare condition in which Langerhans cells proliferate and invade many organs.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is sometimes classified as a unifocal disease, multifocal unisystemic disease, and multifocal multisystemic disease depending on the organs and the number of the affected organ. The skull, spine, pelvis and ribs are involved in more than 50 percent of cases but scapular involvement is rare. In children, single osteolytic lesions of the vertebra plana or skull may suggest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On the other hand, it is difficult to differentiate between metastatic malignancies or osteomyelitis if it occurs in other areas. The authors also reported that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is extremely rare in the scapula, and symptoms may be similar, so they mistook patients who visited the hospital for acute osteomyelitis due to local fever, shoulder pain, and movement restrictions.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s://jkoa.org/DOIx.php?id=10.4055/jkoa.2023.58.3.262 |
ISSN: | 1226-2102 2005-8918 |
DOI: | 10.4055/jkoa.2023.58.3.2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