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악도 음성의 음향학적인 특성
성악도의 발성과 일반인들의 발성을 비교하였을 때 일반인들에게는 나타나지 않는 특별한 음형대가 형성이 되는데 이것을 제 3음형대 즉, Singer’s formant라 부른다. 본 연구는 실제로 성악도에서 Singer's formant가 나타나는지와 성악도와 일반학생들 사이의 음성의 음향학적인 특징을 비교분석을 통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와 또한 남녀 성악도의 음성의 음향학적인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내에 소재한 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과에 재학 중인 1∼4학년 성악전공학생 26명으로 평균연령은 21.8...
Saved in:
Published in | 언어치료연구 Vol. 21; no. 3; pp. 145 - 159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언어치료학회
01.09.201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587X 2671-7158 |
DOI | 10.15724/jslhd.2012.21.3.010 |
Cover
Summary: | 성악도의 발성과 일반인들의 발성을 비교하였을 때 일반인들에게는 나타나지 않는 특별한 음형대가 형성이 되는데 이것을 제 3음형대 즉, Singer’s formant라 부른다. 본 연구는 실제로 성악도에서 Singer's formant가 나타나는지와 성악도와 일반학생들 사이의 음성의 음향학적인 특징을 비교분석을 통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와 또한 남녀 성악도의 음성의 음향학적인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내에 소재한 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과에 재학 중인 1∼4학년 성악전공학생 26명으로 평균연령은 21.8세였고, 남자의 경우는 12명으로 테너 8명, 바리톤 3명, 베이스 1명이고, 여자의 경우 소프라노 14명이었으며, 대조군으로 같은 대학 재학 중인 일반학생 26명으로 남자 12명, 여자 1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23.5세였다. 성악도들에게 /a/모음으로 C3의 A음을 성악적 발성으로 내게 하여 Singer’s formant의 값을 알아보았으며, 또한 모음/a/를 고음 산출시 파사지오의 유무에 대해서도 조사와 음향분석학적 검사와 공기역학적인 검사 및 음역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성악도와 일반학생 두 군 간에 음향학적인 특징으로 기본주파수, 주파수변동률, 진폭변동률, 소음대배음비에서 남녀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공기역학적인 검사에서도 두 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음역검사에서는 남녀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남녀 성악도의 성악적인 발성능력인 파사지오(passaggio) 검사에서는 두 군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다섯째, 남녀 성악도 간의 Singer's formant는 두 군 모두에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악도의 발성에 대한 객관적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의미를 둘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comparative analysis was to compare professional singers and ordinary students and to verify professional singers' phonation characteristics. Twenty-six students ranging from freshmen to senior vocal school students in Busan were selected for the professional singer group(male 12; female 14). The fourteen female vocal students were all soprano. This group was compared with twenty-six ordinary students (male 12; female 14) with a mean age of 23.5 yea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0, jitter, shimmer, and NHR from MDV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PT. Third, VR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Fourth, a passaggio tes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vocal students. Lastly, passaggio, which is a measurement of a professional singer's talent and singer's forma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vocal students. KCI Citation Count: 4 |
---|---|
Bibliography: | G704-000939.2012.21.3.023 |
ISSN: | 1226-587X 2671-7158 |
DOI: | 10.15724/jslhd.2012.21.3.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