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종단매개효과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의 학업적응 변화양상을 확인하고 이중문화수용태도, 자아존중감이학업적응 변화에 미치는 영향의 종단변화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문화청소년 패널 조사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 이중문화수용태도, 학업적응, 자아존중감은 각각의 선형변화모형을 통해 3년간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다변량잠재성장모형을 통한 이중문화수용태도와학업적응 간 자아존중감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변수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Vol. 26; no. 12; pp. 265 - 271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01.12.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49X 2383-9945 |
DOI | 10.9708/jksci.2021.26.12.265 |
Cover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의 학업적응 변화양상을 확인하고 이중문화수용태도, 자아존중감이학업적응 변화에 미치는 영향의 종단변화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문화청소년 패널 조사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 이중문화수용태도, 학업적응, 자아존중감은 각각의 선형변화모형을 통해 3년간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다변량잠재성장모형을 통한 이중문화수용태도와학업적응 간 자아존중감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변수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도를 높이기 위해 이중문화수용태도와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practical suggestions to help multicultural adolescents’ academic adaptation. For this purpose, changes in the academic adapt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identified, and longitudinal changes in self-esteem were explo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and academic adaptation. The data from the panel survey of multicultural youth of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between bicultural acceptance and academic adaptation through the multivariate potential growth model,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was confirm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academic adaptation, and self-esteem of multicultural youth were presented.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598-849X 2383-9945 |
DOI: | 10.9708/jksci.2021.26.12.2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