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언어 및 단일언어 환경 아동의 모국어 노출 및 어휘 발달 비교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이중언어 및 단일언어 환경에 있는 아동 부모의 모국어 사용패턴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으며, 이중언어 및 단일언어 환경에 있는 아동들이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에서 모국어 발달의 차이를 보였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서로 다른 언어 환경에 있는 아동들의 언어 점수 간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방법: 이중언어 환경에 거주하는 32명의 영아와 단일언어 환경에 거주하는 35명의 영아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어휘 및 문법 개발 테스트(K M-B CDI)와 부모 언어 사용 및 환경 설문지(P...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30; no. 4; pp. 63 - 72
Main Authors 임동선(Dongsun Yim), 한지윤(Jiyun Han), 박원정(Wonjeong Park), 이유진(Yujin Lee), 송혜선(HyeSun S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01.10.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21.30.4.06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본 연구는 이중언어 및 단일언어 환경에 있는 아동 부모의 모국어 사용패턴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으며, 이중언어 및 단일언어 환경에 있는 아동들이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에서 모국어 발달의 차이를 보였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서로 다른 언어 환경에 있는 아동들의 언어 점수 간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방법: 이중언어 환경에 거주하는 32명의 영아와 단일언어 환경에 거주하는 35명의 영아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어휘 및 문법 개발 테스트(K M-B CDI)와 부모 언어 사용 및 환경 설문지(PLEQ), 그리고 발달 이정표, 가족력, 행동 패턴 등을 측정하는 언어 능력 설문지(KBPR)를 사용하였다. 언어 환경에 따른 집단별 부모 언어사용 패턴 및 아동 언어발달 수준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각 집단의 언어능력 간 상관관계를 살피기 위해서는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단일언어 환경에 거주하는 아동 부모들은 측정된 모든 의사소통 상황에서 이중언어 환경에 거주하는 부모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모국어 사용량을 보였다. 반면, 두 집단에 속한 영아들의 언어 점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경험하고 있는 언어 환경과 관계없이, 아동들의 언어 점수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아동의 언어발달에 관한 이전 연구에 따르면, 단일언어 및 이중언어 환경에 거주하는 아동들은 모국어 발달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역시, 언어 환경이 다를지라도 두 집단의 아동들은 모국어 초기 발육에 있어 유사한 패턴을 보인다는 점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oddlers in bilingual and monolingual environments showed differing caregivers’ L1 usage patterns in various communicative situations, as well as differences in L1 development. The present study also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anguage scores of toddlers in differing language environments. Methods: Thirty-two toddlers in a bilingual environment (BE), 35 toddlers in a monolingual environment (ME), and their caregiv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using thee separate tools: a standardized vocabulary and grammar development test (K M-B CDI), a parental language usage and environment questionnaire (PLEQ), and a language ability questionnaire (KBPR) measuring developmental milestones, behavioral patterns, and family history. To compare the patterns of parent language use and toddlers’ language development level of each group,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anguage abilities of each group,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ME toddlers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caregivers’ L1 usage in all of the measured communicative situations compared to their BE counterparts. Meanwhil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language scores of the two groups. Also, the language scores among toddlers in both monolingual and bilingual environments were all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Conclusions: In accordance to previous findings in the language development literatu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L1 development of ME and BE toddlers. Findings suggest that toddlers in differing language environments show similar patterns of early L1 development. KCI Citation Count: 2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21.30.4.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