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대학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 경험
목적: 본 연구는 간호학과 신규 졸업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 사고, 감정 및 반응 등을 총체적으로 이해한다는 측면에서 현상학적인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간호대학 졸업생 개개인이 교수와의 의사소통을 어떻게 경험했는지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시도되었다. 방법: 간호대학의 교수와 학생간의 의사소통 경험을 이해하기 위하여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12명의 대상자 개별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참여자는 간호대학 교수와 학생간의 의사소통 경험을 잘 표현할 수...
Saved in:
| Published in | Kanho Haengjŏng Hakhoe chi =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26; no. 3; pp. 205 - 217 |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간호행정학회
01.06.2020
간호행정학회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225-9330 2288-4955 |
Cover
| Summary: | 목적: 본 연구는 간호학과 신규 졸업생의 교수와의 의사소통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 사고, 감정 및 반응 등을 총체적으로 이해한다는 측면에서 현상학적인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간호대학 졸업생 개개인이 교수와의 의사소통을 어떻게 경험했는지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시도되었다.
방법: 간호대학의 교수와 학생간의 의사소통 경험을 이해하기 위하여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12명의 대상자 개별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참여자는 간호대학 교수와 학생간의 의사소통 경험을 잘 표현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간호학과를 졸업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주제와 관련된 자료와 연구자의 경험을 기초로 간호대학의 교수와 학생의 의사소통 경험을 잘 드러낼 수 있도록 개방형 질문을 구성하였다. 연구 주 질문은 ‘간호학과 교수와의 의사소통을 한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여 주십시오.’ 이었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분석결과 6개의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이들의 하위주제는 각각 2개에서 3개, 의미 있는 진술은 각각 3개에서 7개로, 총 15개의 하위주제와 78개의 의미 있는 진술이 도출되었다. 간호대학의 교수들과 학생들 간의 의사소통 경험에서 도출된 주제는 ‘보이지 않는 소통의 장벽’, ‘나를 성장시키는 원동력’, ‘경험적 담론을 통한 메타인지의 확장’, ‘평생을 통한 발전을 꿈꾸게 됨’, ‘친밀한 교류를 원함’, ‘격세지감에서 간호유산을 배워감’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참여자들은 학업생활을 하는 동안 교수는 다가서기 어려운 상대로 관계형성이 수월하지 않았으나, 교수로부터 자신을 이끌어주는 힘과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실무노하우를 전수받고 지식전달을 넘어선 통찰의 길로 안내받았으며, 비록 교수와 격세지감은 있었으나 그들로부터 간호유산을 배워갔으며, 보다 인간적 교류를 원하면서 졸업 후에는 경청이 필요했음을 깨달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gain in-depth understanding and insight into how student nurses experienced communication with professors.
Methods: The research method was a qualitative study in which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individual students.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use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tudents who graduated from the nursing department and were considered able to describe the communication experience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in the college of.nursing.
Result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communication experiences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who had graduated from the college of nursing consisted of six themes for a total of 15 themes clusters and 78 meaningful statements. The 6 theme-clusters were ‘invisible barrier between participant and professors’, ‘motivational driving force’, ‘enrich meta cognition through experiential discourse’, ‘having a dream of lifelong development’, ‘wanting to have meaningful encounters’.
Conclusion: The participants were not able to easily form relationships with the professors of the college of nursing during their academic life, but they learned the practical know-how from the strengths and experiences of the professors that led them from beginning student to graduate nurse. KCI Citation Count: 0 |
|---|---|
| ISSN: | 1225-9330 2288-49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