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정 감염병 전담병원 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 영향요인
목적: 본 연구는 국가지정 감염병 전담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사건보고 태도 및 안전간호활동 정도를 파악하고, 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169명의 국가지정 감염병 전담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행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며, 연구의 결과는 SPSS 26.0 Program을 사용하여 Independent t-test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
Saved in:
Published in | Kanho Haengjŏng Hakhoe chi =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28; no. 1; pp. 20 - 30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간호행정학회
2022
간호행정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9330 2288-4955 |
Cover
Summary: | 목적: 본 연구는 국가지정 감염병 전담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사건보고 태도 및 안전간호활동 정도를 파악하고, 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169명의 국가지정 감염병 전담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행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며, 연구의 결과는 SPSS 26.0 Program을 사용하여 Independent t-test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결과: 국가지정 감염병 전담병원 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환자안전문화 인식(β=.26, t=2.39, p=.018)과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β=.25, t=2.67, p=.009), 담당환자 중증도가 낮은군(β=.17, t=2.52, p=.013)으로 나타났으며,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가장 큰 영향변수였다. 이들 변수들은 국가지정 감염병 전담병원 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에 대해 31.0%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결론: 격리환자의 안전관리 규정마련 및 신종감염병 환자 대응과정에서의 환자안전에 대한 개념과 관련한 전직원 상시 교육제공 등 조직적 차원에서의 지원을 통해 환자안전문화 인식을 향상시키고, 환자중증도를 고려한 부서별 간호사 배치 및 인력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국가지정 감염병 전담병원 간호사의 격리환자 안전과 관련한 안전간호활동 증가를 위해 개인보호복 착탈의 및 손위생 교육, 격리실 비상연락 체계, 격리시설 및 환경관리 규정을 기반으로 주기적인 안전교육 제공을 통해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형성이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patient safety culture, safety knowledge, incident reporting attitude, and safety nursing activities, and deter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nurses’ safety nursing activities at a nationally designated infectious disease hospital.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was conducted with 169 nurses. Data analysis,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6.0. Results: Factors influencing safety nursing activities included patient safety culture (β=.26, t=2.39, p=.018), safety knowledge (β=.25, t=2.67, p=.009), and mild severity (β=.17, t=2.52, p=.013). These variables explained 31.0% of the safety nursing activities. Conclu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emphasizes patient safety by establishing safety management regulations for quarantined patients and provision of education on patient safety for employees to empower them to respond to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Additionally, it is essential to operate given the patient’s severity and to increase knowledge about patient safety through regular education based on quarantine facilities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regulation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5-9330 2288-49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