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 방선균 N-29 배양 여액을 활용한 단풍잎돼지풀 방제효과
단풍잎돼지풀은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서, 아시아뿐만 아니라 원산지에서도 유해한 잡초로 알려져 있으며, 1999년에 환경부 생태계교란식물로 지정되었다. 본 실험은 Streptomyces scopuliridis KR-001의 개량 균주인 N-29 배양 여액을 사용하여 단풍잎돼지풀의 방제효과를 확인해 보고자 온실 및 포장조건에서 수행하였다. N-29 균주 배양 여액을 온실조건에서 초기(2-3엽), 중기(4-5엽), 후기(7-8엽)의 단풍잎돼지풀에 경엽처리했을 때 모든 처리 농도범위에서 완전히 방제되었다. 또한, 단풍잎돼지풀이 자연...
Saved in:
Published in | Weed & turfgrass science Vol. 8; no. 3; pp. 227 - 237 |
---|---|
Main Authors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01.09.2019
한국잔디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7-7924 2288-3312 |
DOI | 10.5660/WTS.2019.8.3.227 |
Cover
Summary: | 단풍잎돼지풀은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서, 아시아뿐만 아니라 원산지에서도 유해한 잡초로 알려져 있으며, 1999년에 환경부 생태계교란식물로 지정되었다. 본 실험은 Streptomyces scopuliridis KR-001의 개량 균주인 N-29 배양 여액을 사용하여 단풍잎돼지풀의 방제효과를 확인해 보고자 온실 및 포장조건에서 수행하였다. N-29 균주 배양 여액을 온실조건에서 초기(2-3엽), 중기(4-5엽), 후기(7-8엽)의 단풍잎돼지풀에 경엽처리했을 때 모든 처리 농도범위에서 완전히 방제되었다. 또한, 단풍잎돼지풀이 자연 발생한 포장조건(5-6엽)에서도 매우 탁월한 방제효과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방제효과는 처리 21일 이후에도 약효가 지속되었다. 외형적으로 발현되는 주요 증상으로는 경엽처리 후 24시간 이내에 수침상(water soaked)의 반점이 발현되어 황화(chlorosis) 및 고사(leaf burn-down)로 진행되어 궁극적으로는 잎이 낙엽화(defoliation)되어 사멸되었다. 살초특성으로는 온실 및 포장조건에서 N-29 배양 여액 처리 후 24시간 이내에 외형적으로 증상이 발현되는 속효성이었으며, 처리된 부위에 살초증상이 발현되는 접촉형 제초제의 양상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부터 토양 방선균 N-29 균주 배양 여액은 생태계교란 광엽식물 단풍잎돼지풀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방제제 후보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mbrosia trifida that is native to North America has been known as a noxious weed not only in Asia but also in the native areas, and it was designated as a plant to invasive alien we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This study presents an experiment aimed for preventing the propagation of the A. trifida using a mutant N-29 broth filtrate of Streptomyces scopuliridis KR-001. The experiment applied the broth filtrate of the mutant N-29 to A. trifida in a greenhouse and in field con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utant N-29 broth filtrate demonstrates a complete herbicidal activity against A. trifida in the greenhouse condition after foliage treatment under all application rates for three leaf stages (Ls) of early (2-3 Ls), middle (4-5 Ls), and late (7-8 Ls) ones. Also, it showed a strong herbicidal effect on the naturally grown condition (5-6 Ls) and the effect lasted for as long as 21 days. The main symptom of external manifestation was water soaked dots within 24 hours after treatment and continued to the appearance of chlorosis and proceeded to leaf burn-down, ultimately defoliations to dead plants. Our results shows that the mutant N-29 broth filtrate can be utilized as a natural and eco-friendly herbicide against A. trifida that is one of the broad-leaved weeds disturbing ecosystem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287-7924 2288-3312 |
DOI: | 10.5660/WTS.2019.8.3.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