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화 기반 치료의 연구 동향과 추후 과제
지난 10년간 (2011년~2020년) 발표된 정신화 기반 치료(Mentalization-Based Treatment: MBT)에 대한 국내외 학술지 논문 중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한 29편(국내 3편, 국외 26편)의 논문을 선정한 뒤, 연구 대상, 프로그램의 형태 및 기간, 변화 영역 및 평가 도구를 중심으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경계선 성격장애 내담자군을 위해 개발된 Bateman & Fonagy(2004, 2006b)의 정신화 기반 치료 프로그램을 활용한 연구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연구에서는 다...
Saved in:
Published in | 사회과학연구논총 Vol. 37; no. 2; pp. 135 - 181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01.10.2021
이화사회과학원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975-8987 2671-9029 |
Cover
Summary: | 지난 10년간 (2011년~2020년) 발표된 정신화 기반 치료(Mentalization-Based Treatment: MBT)에 대한 국내외 학술지 논문 중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한 29편(국내 3편, 국외 26편)의 논문을 선정한 뒤, 연구 대상, 프로그램의 형태 및 기간, 변화 영역 및 평가 도구를 중심으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경계선 성격장애 내담자군을 위해 개발된 Bateman & Fonagy(2004, 2006b)의 정신화 기반 치료 프로그램을 활용한 연구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연구에서는 다른 증상의 개선이나 부모나 정신건강 돌봄 인력의 훈련 등에도 확장하여 적용하였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증상 개선 이외에 정신화의 변화를 측정하지 않거나 자기보고식 검사를 주로 사용하였다는 한계점이 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한계점을 논하였으며, 연구 및 실무 현장에서 정신화 기반 치료를 보다 활성화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earch that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Mentalization-based treatment (MBT) among the papers in domestic and foreign academic journal papers published over the past ten years (2011-2020). After selecting the 29 papers(3 domestic papers and 26 foreign papers), they were analyzed focusing on research subjects, the form and period of the program, the area of change, and the evaluation tool to explore research trends. Most studies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ased on Bateman & Fonaghy (2004, 2006b) developed for the cli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In some studies, MBT has also been applied to treatment programs for other symptoms or training programs for parents or mental health care workers by expanding the scope of the subject. However, there is limitations in that, in the process of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changes in mentalization other than improvement of symptoms were not measured or the self-report test was mainly used.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and directions were proposed to further activate MBT in research and practice.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975-8987 2671-9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