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모델링 요인이 디지털 금융서비스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보취약계층 대상 중심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는 다양한 금융소비자를 위해 개인화된 금융상품의 제공과 혁신적인 금융서비스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금융 디지털서비스의 다양한 서비스가 확대와 활용이 높아지더라도 금융 소외계층은 더 확대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보호원 정책연구의 실증데이터(2017년)를 활용하여 디지털 금융소외계층을 대상으로 디지털 금융서비스 사용의도에 대한 영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developing into the provision of...
Saved in:
| Published in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0; no. 8; pp. 1613 - 1623 |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08.2019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598-2009 2287-738X |
| DOI | 10.9728/dcs.2019.20.8.1613 |
Cover
| Summary: | 4차 산업혁명 시대는 다양한 금융소비자를 위해 개인화된 금융상품의 제공과 혁신적인 금융서비스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금융 디지털서비스의 다양한 서비스가 확대와 활용이 높아지더라도 금융 소외계층은 더 확대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보호원 정책연구의 실증데이터(2017년)를 활용하여 디지털 금융소외계층을 대상으로 디지털 금융서비스 사용의도에 대한 영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developing into the provision of personalized financial products and innovative financial services for various financial consumers. However, even if the various services of financial and digital services are highly expanded and utilized, the financial alienation class can be further expand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will use the empirical data (2017) of the Consumer Protection Agency policy research to consider the digital financial alienation class. Try to derive the impact on the degree of use of digital financial services. KCI Citation Count: 6 |
|---|---|
| Bibliography: | http://dx.doi.org/10.9728/dcs.2019.20.8.1613 |
| ISSN: | 1598-2009 2287-738X |
| DOI: | 10.9728/dcs.2019.20.8.1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