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성 공급자와 KOSPI200 ETF의 가격오차 현상
본 연구에서는 ETF(Exchange Traded Fund)라고 알려진 상장지수펀드의 시장가격과 ETF의순자산가치인 NAV(Net Asset Value)의 차이를 비율로 계산해 ETF 시장가격이 NAV보다 저평가혹은 고평가 되어 있는지를 확인 해보고 그 원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 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ETF 시장가격은 NAV 자체를 비교했을 때 저평가 되어 있었다. 둘째, ETF 시장가격에 분배금을고려하고 NAV에 펀드보수와 매도거래세라는 세금요소를 반영했을 때 실질적으로 고평가 되어 있었다. 셋째, 이렇게 분...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증권학회지 Vol. 47; no. 4; pp. 579 - 605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증권학회
01.08.201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05-8187 2713-5543 |
DOI | 10.26845/KJFS.2018.08.47.4.579 |
Cover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ETF(Exchange Traded Fund)라고 알려진 상장지수펀드의 시장가격과 ETF의순자산가치인 NAV(Net Asset Value)의 차이를 비율로 계산해 ETF 시장가격이 NAV보다 저평가혹은 고평가 되어 있는지를 확인 해보고 그 원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 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ETF 시장가격은 NAV 자체를 비교했을 때 저평가 되어 있었다. 둘째, ETF 시장가격에 분배금을고려하고 NAV에 펀드보수와 매도거래세라는 세금요소를 반영했을 때 실질적으로 고평가 되어 있었다. 셋째, 이렇게 분배금, 펀드보수, 매도거래세금을 고려한 경우 나타나는 ETF 시장가격의 고평가 현상에대해 변동성 변수와 유동성 변수를 세분화하여 원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변동성 변수와 유동성공급자 관련 변수가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 유동성 공급자의 유의성이 더 높았으며 유동성공급자 중에서 매도 유동성이 매수 유동성 보다 높은 유의성을 가졌다. 따라서 유동성 공급자가 ETF를실질적으로 높은 가격대에 거래를 형성하고 있어 이들의 역할에 따라 ETF의 가격오차 현상에 영향이있음을 확인했다. 따라서 ETF 유동성 공급자에 대한 평가가 지금보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제시할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confirmed effect factors according to pricing errors between ETF (Exchange Traded Fund) and NAV (Net Asset Value). This paper reached the following three conclusions. First, when compared to NAV, ETF was undervalued. Second, ETF was overvalued if dividends, fund fees, and tax variables were considered, meaning that the price of ETF was higher than that of NAV. Third, volatility and LP (Liquidity Provider) variables can be effect factors in overvaluation of ETF. In particular, the seller in LP variables is a stronger factor than other variables. This means than an LP can set a high price for an ETF and is able to influence pricing error. Therefore, detailed evaluation of the LP should be conducted. KCI Citation Count: 3 |
---|---|
Bibliography: | http://www.iksa.or.kr/modules/doc/index.php?doc=search&___M_ID=186 |
ISSN: | 2005-8187 2713-5543 |
DOI: | 10.26845/KJFS.2018.08.47.4.57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