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표본분석을 적용한 한국 성인의 대사증후군 유병률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차년도(2014)자료를 이용하여 성별, 연령에 따른 한국 성인의 대사증후군 유병률과의 연관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체 성인을 생애전환기(40세, 66세)를 기준으로 청장년(19세~39세), 중년(40 세~65세), 노년(66세 이상)으로 그룹화 하였고, IBM SPSS 2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층화변수, 집락변수, 조사변수 가중치를 반영한 후 복합표본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른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남성 19.5%, 여성 7.7% 이었다. 대사증후군을 가진 집단 내 비율은...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 19; no. 3; pp. 85 - 97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01.09.2017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4225 2671-9134 |
DOI | 10.21797/ksme.2017.19.3.007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차년도(2014)자료를 이용하여 성별, 연령에 따른 한국 성인의 대사증후군 유병률과의 연관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체 성인을 생애전환기(40세, 66세)를 기준으로 청장년(19세~39세), 중년(40 세~65세), 노년(66세 이상)으로 그룹화 하였고, IBM SPSS 2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층화변수, 집락변수, 조사변수 가중치를 반영한 후 복합표본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른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남성 19.5%, 여성 7.7% 이었다. 대사증후군을 가진 집단 내 비율은 남성 71.9%, 여성 28.1% 로 확인되었다(χ2=192.63, p=.000). 연령에 따른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전체 대상 중 청장년 10.8%, 중년 21.3% 노년 15.7% 이었다(χ2=83.03, p=.000). 대사증후군을 가진 집단내 비율은 청장년 24.6%, 중년 60.7%, 노년 14.7%로 나타났다. 성별과 연령에 따른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전체 대상 중 청장년 남성 84.1%, 여성 15.9%로 나타났고, 중년 남성71.7, 여성 28.3% 였으며, 노년 남성 52.4%, 여성 47.6%로 확인되었다. 대사증후군을 가진 남성의 연령별 비율은 청장년 28.7%, 중년 60.5%, 노년 10.7%로 나타났다. 대사증후군을 가진 여성의 연령별 비율은 청장년 13.9%, 중년 61.1%, 노년 25.0% 이었다.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second year of the six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MetS) among Korean adults based on age and sex. The study subjects were adults aged 19 or older, who completed all three components of the KNHANES VI-2: health interview, health examination, and nutrition survey.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using life transition periods (40 and 66 years of age), into young adults (19–39 years old), middle-aged adults (40-–65 years old), and older adults (66 years and older). IBM SPSS 23.0 was used for complex samples analysis that considered sampling weights, stratification, and clustering of variables.
Depending on the research question, we used the complex samples cross-tabulation and the chi-squar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prevalence of MetS in the study population was 19.5% in males and 7.7% in females. Within the group with MetS, the proportion by sex was 71.9% male and 28.1% female (chi-square=192.63, p=.000). Age-based prevalence of MetS was 10.8%, 21.3%, and 15.7% among you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respectively (chi-square=83.03, p=.000). The percentage within the group with MetS was 24.6%, 60.7%, and 14.7% among you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respectively. Prevalence of MetS based on age and sex among all subjects was 84.1% for young males and 15.9% young females, 71.7% for middle-aged males and 28.3% for middle-aged females, and 52.4% for older males and 47.6% for older females. Among males with MetS, the percentage by age group was 28.7%, 60.5%, and 10.7% for you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respectively. Among females with MetS, the percentage by age group was 13.9%, 61.1%, and 25.0% for you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respectively. KCI Citation Count: 2 |
---|---|
ISSN: | 1229-4225 2671-9134 |
DOI: | 10.21797/ksme.2017.19.3.007 |